충남환경단체, '석탄발전 조기 폐쇄' 촉구

전체 석탄발전소 59기 가운데 29기, 절반이 충남에 몰려 석탄발전 수명연장 수단인 암모니아 혼소계획도 취소 요구

2024-06-13     이기륜 기자
▲ 석탄을 넘어서, 당진환경운동연합, 기후위기충남행동 관계자들이 당진화력 정문 앞에서 석탄화력발전소 조기폐쇄를 요구하고 있다. ⓒ 석탄을 넘어서

충남환경단체들이 석탄발전 조기폐쇄와 암모니아 혼소계획을 취소할 것을 요구했다.

석탄을 넘어서, 당진환경운동연합, 기후위기충남행동 등 충남환경단체들은 13일 기자회견을 열고 산업자원통상부, 충남도청 등에 요구사항을 전달했다.

이들은 석탄발전의 수명연장 수단인 암모니아 혼소계획을 취소할 것을 요구했다.

구체적으로 충남도에겐 석탄발전의 조기폐쇄와 재생에너지로의 정의로운 전환 로드맵을, 서부발전·동서발전·중부발전에겐 재생에너지 확대계획을 수립할 것을 촉구했다.

김정진 당진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선 온실가스 최대 단일 배출원인 석탄화력발전소를 조기폐쇄하고 태양광과 풍력을 중심으로 하는 재생에너지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 석탄을 넘어서, 당진환경운동연합, 기후위기충남행동 관계자들이 충남도청에서 암모니아 혼소계획을 취소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 석탄을 넘어서

환경단체들은 이날 충남 시민사회를 대상으로 석탄발전과 암모니아 혼소 문제를 알리기 위해 거리 피케팅 행진을 하고 오픈 세미나를 진행했다.

조순형 충남환경운동연합 탈석탄팀장은 충남 지역 탈석탄 운동의 현황과 과제를, 정석환 기후솔루션 연구원은 충남 암모니아 혼소계획 전망과 쟁점 확인을 주제로 발제했다.

정석환 기후솔루션 연구원은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석탄발전을 종료해야만 탄소중립이 가능하다"며 "2050년까지 석탄발전을 수반하는 암모니아 혼소계획은 기후위기 대응 솔루션이 될 수 없다"고 말했다.

▲ 지방자치단체별 암모니아 혼소에 의한 미세먼지 배출량 변화. ⓒ 석탄을 넘어서

많은 환경단체들이 충남에 모인 이유는 정부가 충남도에 석탄화력발전소가 편중돼 있어 발생하는 기후위기 악화 문제 등에 대해 마땅한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전체 석탄발전소 59기 가운데 29기는 충남도에 있고 지난해 기준 충남의 석탄발전소는 7167만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했다. 이는 민자 석탄발전을 제외하면 국내 석탄발전에서 나오는 전체 배출량의 57%에 해당한다.

환경단체들은 석탄발전을 종료할 계획을 마련해야 할 정부가 석탄발전 조기폐쇄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정부가 발표한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는 노후 석탄발전의 암모니아 혼소계획이 포함됐다.

정부가 2030년 이후에도 석탄발전을 가동하고 향후 석탄발전의 암모니아 혼소 정책을 펼칠 것으로 보이자 환경단체들은 로드맵 수립을 촉구했다. 

이들은 충남의 현 상황을 고려해 석탄발전 종료 후 전환 과정에서 발생할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재생에너지 투자 확대 △지역 일자리 문제 해결 등을 포함한 로드맵을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선숙 기후위기에너지전환보령행동 대표는 "암모니아가 발전소 노동자의 안전뿐만 아니라 대기환경에도 막대한 피해를 가져올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