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시스템 개통 직전 '313건 서비스 개선' 요구한 우본
우정사업본부의 과도한 과업내용 변경 요구로 인해 우체국 차세대 금융시스템 장애가 잇따라 발생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변재일 의원(더불어민주당·충북청주청원)은 우체국 차세대 금융시스템 개통 직전까지 무리한 과업내용 변경으로 사업 수행사들에게만 장애 발생 책임을 전가하면 안 된다고 4일 밝혔다.
우정사업본부는 노후화된 우체국 금융시스템을 변화된 금융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와 빅데이터 기반의 차세대 금융시스템으로 전면 재구축하기 위해 3년전부터 '우체국 차세대 금융시스템 구축사업'을 추진했다.
지난해 9월 13일 해당 시스템을 오픈하기로 했던 우본은 시스템 완성도가 미흡해 일정을 두 차례 연기하고 지난 5월 8일 시스템을 최종 오픈했다.
하지만 오픈 당일부터 우체국뱅킹 서비스 이용자 폭증으로 간편인증 휴대폰 문자 인증 오류·지연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
이후에도 장애가 계속 발생해 스마트뱅킹 접속 장애, 자동이체 착오 송금 등 모두 4차례나 문제가 생겨 국민들이 불편을 겪었다.
변 의원은 "시스템 오픈 직전까지 우본의 무리한 과업내용 변경 요구로 인해 이같은 문제가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시스템 최종 테스트 전 서비스 개선요청을 더 이상 받지 않는 기간을 명시한 에스알 프리징(SR Freezing) 이후에도 우본은 지난해 4월부터 8개월동안 모두 313건의 서비스 변경 요구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313건의 과업내용변경 요구를 하려면 과업심의위원회를 통해 발주처와 수행사 사이 재협상을 해야 하지만 과업심의위원회는 2021년 10월 13일 한 차례만 열린 것으로 알려졌다.
변재일 의원은 "발주처들의 갑질을 방지하려고 과업심의위원회 개최가 의무화됐지만 실제 수행사들이 요구하는 계약 변경이나 금액 조정은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며 "불합리한 사업구조와 관행이 개선되지 않으면 향후 각종 대형 정보화 사업에서도 같은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