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0억 횡령' 우리은행 금융사고액 '최다' … 회수율은 '꼴찌'
5대 시중은행에서 5년 동안 벌어진 금융사고 피해액 1000억원 가운데 회수액은 10%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리은행은 지난해 600억원대 대규모 횡령사고가 발생한 데 비해 회수율은 가장 저조했다.
12일 국회 정무위원회 윤창현 의원(국민의힘·비례)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지난 7월까지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에서 발생한 금전사고액은 991억9300만원이다.
사고 규모별로는 지난해 우리은행에서 발생한 600억원대 횡령 사고가 가장 컸다. 유형별로는 고객 예금이나 회삿돈을 가로채는 횡령 사고가 가장 빈번했다.
전체 사고액 가운데 회수액은 108억2500만원으로 전체의 10.9% 불과했다. 지난해 우리은행의 600억원대 횡령 사고와 국민은행의 150억원(손실 금액 미확정) 규모 부동산담보대출 서류 조작 사고(업무상 배임) 등이 발생하며 상대적으로 회수율이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하나은행은 사고액 61억6337만원 가운데 46억8677만원을 회수해 회수율이 76%에 달했다.
이어 농협은행은 29억3780만원 가운데 20억4260만원(69.5%), 신한은행은 58억1771만원 가운데 15억3961만원(26.4%)을 회수했다.
반면 국민은행과 우리은행은 회수율이 10%에도 못미쳤다.
국민은행은 174억6090만원의 사고액 가운데 6억4210만원(3.7%)을 회수하는 데 그쳤다.
우리은행은 5대 은행 가운데 최저인 2% 수준이었다. 사고액은 668억1300만원으로 가장 컸지만 회수액은 겨우 19억1400만원(2.9%)에 그쳤다.
윤창현 의원은 "수년에 걸쳐 횡령 등 금전 사고가 반복되고 있지만 적발은 빙산의 일각으로 의심되고 회수 역시 대단히 미흡한 상황"이라며 "금융에 대한 신뢰가 회복 국면에 접어들 때까지 은행은 고객 자금을 취급하는 직원에 대한 명령 휴가 제도를 대폭 확대 시행하고 금감원은 실효성 있는 제도 운영을 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