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짠돌이' KT '안전' 외쳐놓고 돈 쓸 땐 '인색' … 협력업체 '갑질'도 했다
KT가 '안전 최우선'을 외치면서도 '비용절감'을 핑계로 정작 공사장 안전관리에 비용을 쓰는 데 인색한 것으로 드러났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KT는 통신공사를 발주할 때 안전신호수나 교통관리신호수 등 안전관리 인력 배치 비용을 공사 단위별로 한 명분씩만 반영한다.
안전신호수는 통신구나 맨홀 안, 기지국 철탑에서 작업하는 노동자의 안전을 돕는다. 교통관리신호수는 현장으로 진입하는 차량이나 보행자를 통제하는 역할을 맡는다.
개정된 중대재해처벌법은 각 공사 지점마다 안전관리를 맡는 안전신호수를 각각 배치하도록 돼 있다. 한 가지 공사를 하려면 통신공사 특성상 2~3개가 넘는 지점에서 공사가 진행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법 개정 후 공사 단위별로 3명의 안전관리 인건비를 반영했다.
반면 KT는 비용절감을 위해 공사 각 지점이 아닌 공사 단위별로 1명분씩의 인건비만 반영시켰다.
KT 대표이사 선임이 연달아 무산되면서 경영 공백이 생겨 안전관리 비용 반영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내년부턴 상시 노동자 50인 이하의 협력업체들도 중대재해법이 적용되는데 이와 관련해 사고가 났을 땐 KT도 책임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KT는 협력업체들의 안전관리 현황을 점수로 매겨 발주에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협력업체들은 현장에서 사고가 나면 안전관리 점수가 깎여 발주 물량에 영향을 받을까 두려워 '울며 겨자먹기'로 자체 비용을 들여 안전관리 인력을 배치할 수밖에 없다.
KT 관계자는 "중대재해법이 개정 후 도로교통법 시행규칙에 맞게 현장 작업 환경의 최적화 기준을 세워 따르고 있다"며 "현장에 따라 인도에서 작업하는 경우엔 한 명, 차도의 경우엔 안전신호수 한 명과 교통신호수 두 명 등 유동적으로 인건비를 책정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