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지사 "경기GPT 인공지능 강국 이끌기 위한 첫걸음"
경기도는 '경기지피티(GPT)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21일 도에 따르면 생성형 인공지능으로 주목받고 있는 GPT를 도정에 접목하기 위해 이달 말까지 전담 기구를 조직해 공론화, 입법 연구, 아이디어 발굴, 행정혁신 등 체계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한다.
인공지능 콜센터 같은 행정서비스 도입,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예술교육과 전시회 추진 같은 사업에 GPT를 도입하는 한편 올 하반기에는 GPT 등 관련 미래기반 산업 육성을 위해 500억원 규모의 펀드 조성을 추진한다.
경기GPT는 내부적으로는 행정의 효율화를 달성하고 외부적으로는 도민과 산업의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도 실정에 맞게 '생성형 인공지능(AI)기술'을 활용하는 경기도의 정책과 시스템이다.
우선 행정1부지사를 단장으로 하는 '경기지피티 전담조직(TF)'을 구성해 이달 말 전체 회의를 진행한다. TF는 관련 실·국장과 공공기관장, 전문가로 이뤄진 싱크탱크 그룹과 총괄·지원, 도민 기회, 산업 기회, 행정혁신, 공론·입법 등 실무 추진 5개 분과로 구성된다.
도민참여 기회 확대를 위해서는 발달장애인 15명을 대상으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예술교육과 활동 결과물 전시·확산을 추진하는 '지피티 도민창작단' 사업을 추진한다.
현장 목소리를 청취하고 이를 바탕으로 AI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지역 내 AI기업, 관련 대학, 연구기관 등이 참여하는 'GPT 산학연관협의체'를 발족하고 간담회를 추진한다.
하반기 조성 목표인 '미래성장펀드'는 지역 내 생성형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미래기반 산업 분야 유망 새싹 기업 등을 대상으로 500억원 규모의 자금을 조성해 지원한다.
행정혁신 분야에서는 도와 KT가 공동 추진하는 AI 기반 콜센터가 있다. 도는 내년부터 인공지능 기반의 경기도형 콜센터 시스템 개발용역에 착수한다.
노인이나 장애인 등 나이와 신체의 장벽 없이 누구나 음성이나 단어를 통해서 정확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무장애(Barrier-free) 민원 서비스도 추진된다.
김동연 경기지사는 "경기GPT는 도를 세계 인공지능 수도로 만들어 대한민국을 인공지능 강국으로 이끌기 위한 첫걸음"이라며 "일자리 불안, 격차 확대, 윤리적 논란 등 문제점도 적극적으로 보완해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