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난발신장비 아직도 … 청보호 사고 피해 키운 해수부

2023-03-15     신승민 기자
▲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이 청보호 전복사고 현장을 방문했다. ⓒ 해양수산부

해양수산부의 조난 위치 발신 장치 개발이 늦어지면서 청보호 사고 인명 구조에 난항을 겪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김형동 의원(국민의힘·안동예천군)이 15일 해양경찰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해경은 사고 발생 후 조난된 청보호 선원을 수색하는데 7억1650만원을 썼다.

단가 230만원인 항공 조명탄 270발에 6억2100만원을 사용했다. 민간어선 191척 동원에도 9550만원을 소비했다.

구조 활동에 투입된 해군과 공군이 항공 조명탄 603발을 사용했다. 지방자치단체는 민간어선 341척을 자체 동원해 선주들에게 수십만원의 수당을 지급했다.

해경, 해군, 공군 등이 사용한 비용이 수십억원에 달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해수부는 2018년부터 어선의 충돌이나 전복 등으로 조난된 선원을 구조하기 위해 조난 위치 발신 장치를 개발하고 있지만 완수하지 못했다. 구명조끼나 목걸이 등에 달려있는 GPS 개념으로 배에서 멀리 떨어진 선원의 위치를 해상교통정보센터에 보내주는 장치다.

만약 장치가 보급됐다면 청보호 선원의 위치 파악도 가능했을뿐더러 수백명의 구조 인력이 투입되지 않았을 것이다.

청보호 사고로 승선원 12명 가운데 3명만 구조되고 5명이 사망했다. 4명은 여전히 실종 상태다.

해수부 관계자는 "해당 장치를 휴대하기가 아직은 어렵다"며 "개발이 완료되는 내년 시범 운영을 거쳐 2025년엔 현장에 보급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