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전국 최초 '침수 예보제' 발령 … 약자대피 지원

2023-03-10     김덕호 기자
▲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침수 예·경보제와 대피를 돕는 동행파트너 서비스를 시작한다. ⓒ 서울시

서울시는 전국 최초로 '침수 예·경보제'와 대피를 돕는 '동행파트너' 서비스를 진행한다고 10일 밝혔다.

시는 지난해 여름 신림동 반지하주택 사고같이 안타까운 인명사고가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오는 5월부터 새로운 수해 안전대책을 가동한다.

이 사업은 서울시가 현실로 다가온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향후 10년간 수방대책을 담아 발표한 '더 촘촘한 수해안전망 추진전략'의 하나로 추진된다.

침수 예경보제는 서울 전역에 설치된 강우량계와 도로수위계에서 일정 기준 이상 강우와 수심이 측정되면 자치구, 경찰·소방·도로 등 유관기관, 동행파트너, 시민에게 사전에 침수를 경고하는 시스템이다.

시는 △시간당 강우량 55㎜초과 △15분당 강우량 20㎜ 초과 △도로수위계 기준 침수심 15㎝초과 중 어느 하나라도 해당되면 각 자치구 단위로 '침수 예보'를 발령한다.

침수 예보가 내려진 해당 자치구는 침수우려지역 CCTV 확인, 현장 출동 등을 통해 위험 여부를 판단한 후 '침수 경보'를 발령한다. 대시민 재난문자(CBS), 경고 방송 통해 해당 지역에 있는 모든 시민에게 비상 상황을 알린다.

동행파트너는 반지하주택 거주 재해약자의 인명피해를 막기 위해 침수 예보 단계부터 현장에 출동하는 주민 협업체다.

동행파트너는 △지역 사정에 밝은 통·반장 △대상 가구와 같은 건물에 거주하거나 도보 5분 이내 인접 거리에 거주하는 이웃 주민 △돌봄공무원 5인 내외로 구성한다.

서비스는 지하에 2/3 이상이 묻힌 반지하주택의 중증장애인, 어르신, 아동 등 1071가구 가운데 희망 가구에 지원한다.

권완택 서울시 물순환안전국장은 "다시는 인명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보다 촘촘한 수해 안전대책을 진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