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경선 여성가족부 차관 ⓒ 여성가족부
▲ 김경선 여성가족부 차관 ⓒ 여성가족부

여성가족부는 고용노동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등 유관 기관과 '제5차 여성 고용실태 분석과 정책과제 발굴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21일 밝혔다.

간담회는 오는 25일부터 31일까지 '남녀고용평등 강조주간'을 맞아 노동자의 유연근무제 활용 실태를 파악하고 여성 고용 유지를 위한 일·생활 균형 제도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지난 4년간 유연근무제 활용은 급속히 확산되고 있었다.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여성과 남성 임금노동자 모두 유연근무제 활용 비율이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유연근무제란 근로시간 단축근무제, 시차출퇴근제, 탄력적 근무제 등을 말한다.

노동자가 가장 많이 활용한 유연근무제 유형은 시차출퇴근제, 2020년 코로나19의 영향을 받아 크게 증가한 유형은 재택과 원격근무제로 나타났다.

노동자의 혼인상태 분석결과 여성은 기혼, 남성은 미혼이 유연근무제 활용 비율이 높아 성별에 따라 활용 이유가 다르다는 점을 보여준다.

18세 미만 유자녀 기혼여성의 고용은 코로나19로 큰 타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5세 이상 54세 이하 기혼여성 가운데 18세 미만 자녀를 가진 취업자는 2019년에 비해 15만6000명 감소했다.

막내 자녀 기준 3~4세 자녀를 둔 기혼여성의 고용률 감소는 어린이집 등의 휴원으로 인한 돌봄 공백이 발생하면서 책임이 여성에게 전가됐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김지희 서울시 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장은 "여전히 출산전·후 휴가, 육아휴직 등도 사용하기 어려운 노동자가 많은 것이 현실"이라며 "중소기업 등에서도 모성보호제도 실효성을 강화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말했다.

권순원 숙명여대 경영학부 교수는 "육아휴직 사용방식을 월별에서 일별로 변경하면 보다 유연한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며 "원격·비대면 근무 활성화, 장시간 근로문화 개선, 연령 주기별 맞춤형 인적자원개발 전략 마련 등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정형옥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선임연구위원은 "유연근무제는 돌봄 책임이 있는 여성을 위한 제도가 아니라 모든 노동자의 일과 생활을 위한 것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며 "자녀의 연령이 어릴수록 기혼여성의 고용률이 낮아지는 점을 고려하면 육아휴직 제도의 실효성 제고와 휴직 이후 고용유지 방안에 대한 정책적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여가부는 중소기업의 남성 육아휴직 활성화를 위한 가점을 상향하는 등 출산·양육지원과 같은 제도를 모범적으로 운영하는 기업에 부여하는 가족친화인증제 실효성을 강화할 예정이다.

노부·법률 상담, 일·생활 균형 지원, 경력개발과 컨설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재직여성 고용유지 지원 사업 모델'을 개발할 계획이다.

김경선 여가부 차관은 "일·생활 균형 지원 제도의 활성화는 경력단절을 막고 장기근속을 유도해 기업의 경쟁력과 지속 가능한 발전에도 도움이 된다"며 "코로나19 이후 유연근무가 확산되면서 노동시장에서의 성별 격차를 줄여나갈 기회가 주어진 만큼, 기업의 제도 활성화를 지원해 장기적으로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촉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세이프타임즈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