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냉각 저장고의 구조와 온도정밀도 측정결과. ⓒ 농촌진흥청
▲ 과냉각 저장고의 구조와 온도정밀도 측정결과. ⓒ 농촌진흥청

농촌진흥청은 김치 수출과 소비에 도움이 되도록 갓 담근 김치 맛을 오래 유지하는 과냉각 저장기술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국내 김치 수출량은 지난해 기준 10억5000만 달러로 2018년보다 7.7% 증가했다. 일본에 편중됐던 수출국도 최근 미국, 호주, 네덜란드 등으로 다양해지고 있다.

가까운 일본과 달리 미국이나 유럽으로 수출되는 김치는 배에 실려 현지에 도착하기까지 20∼40일이 경과되는데 이 기간 동안 발효가 계속돼 지나치게 익은 상태가 된다.

수출업체가 김치의 발효를 지연시키기 위해 식용항균제 등을 처리하기도 하지만 현장은 물리적인 저장 연장 기술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했다.

개발된 기술은 김치 저장온도를 낮추면 발효가 지연되는 점을 착안해 어는점 이하의 온도에서 얼지 않은 상태로 저장하는 과냉각 저장기술이 적용됐다.

직냉식 냉장고(일반 김치냉장고)는 냉매가 흐르는 부분이 다른 곳보다 더 차가워 성에가 발생한다.

그러나 과냉각 저장은 냉장고 내부 모든 부위의 온도 편차가 적어야 효과적이다. 이에 농진청은 단열재와 전도체를 냉장고 내부에 배치해 목표 온도(영하 2.5도)에서 0.3도 안의 온도 편차가 유지되도록 했다.

이 기술을 일반 포기김치에 적용한 결과 잘 익은 상태의 산도인 0.6%에 도달하는 기간이 1도에서 3주가 소요됐지만 영하 2.5도에서는 12주가 소요됐다. 관능검사 결과도 과냉각 저장 김치가 일반 저장 김치보다 신맛이 유의하게 낮았다.

김치의 과냉각 상태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김치 제조 때 포함된 호기성 미생물로 호기성 미생물이 적은 겨울철 시판되는 김치(1.8㎏)는 영하 3.8도까지 과냉각 상태가 유지됐다.

연구진은 김치를 냉·해동할 때 아삭한 식감과 유산균이 줄어드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당류의 하나인 트레할로스를 배추절임 과정과 김치 양념에 추가해 김치를 제조하고 급속 동결하는 연구도 진행했다.

이는 김치 염도가 낮고 당도가 높을수록 냉·해동 때 아삭한 식감이 유지되는 원리로 김치 당도가 19브릭스(당도)일 때 냉·해동 때 김치의 아삭한 식감이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기술을 일반 포기김치에 적용한 결과 유산균은 냉동 전과 비슷하게 유지됐으며 당도가 낮은 백김치의 유산균은 1/10 정도 감소한 상태로 유지됐다.

이성현 수확후관리공학과장은 "개발된 기술은 김치뿐 아니라 다른 농식품에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저장기술"이라며 "김치 수출을 비롯해 다양한 영역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세이프타임즈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