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올해부터 2026년까지 7년간 '수행'

▲ 보존처리 되는 국보 46호 부석사 조사당 벽화. ⓒ 문화재청
▲ 보존처리 되는 국보 46호 부석사 조사당 벽화. ⓒ 문화재청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사찰벽화인 부석사 조사당 벽화(국보 제46호)가 보존처리 된다.

18일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에 따르면 경북 영주 부석사 조사당 벽화는 우리나라에 화엄종을 처음 전파한 의상대사(625~702) 초상을 모신 부석사 조사당(국보 제19호)의 안쪽 벽면에 그려진 불교 회화다.

목재 골조 위에 흙벽을 만들어 다양한 안료로 채색한 그림이다. 벽화는 조사당이 건립될 당시인 1377년(고려 우왕 3년)에 그려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벽화에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수호하는 제석천과 불법을 지키는 수호신 사천왕, 제석천과 함께 부처님을 보좌하는 범천이 6폭으로 나누어 그려져 있다. 고려 시대 대표적인 불교 벽화로 평가받고 있다.

이 벽화는 일제강점기인 1916년 경 조사당에서 해체‧분리됐고 6폭의 벽화는 각각 벽체 뒷면 일부가 제거되고 석고로 보강돼 나무보호틀에 담겼다. 표면의 균열부위에도 석고로 보존처리 됐다. 이후 부석사 무량수전(국보 제18호)과 보장각을 거쳐 지금까지는 성보박물관에 보관·전시됐다.

현재는 일제강점기에 사용된 보존처리 재료인 석고로 인한 백색 오염이 벽화면 전반에 발생하고 있다. 과거 보존처리에 사용된 재료가 열화되면서 채색층이 표면이 들떠서 벗겨지가 들뜨는 현상인 박리와 박락과 표면 오염도 관찰되고 있는 상태다.

또한 벽체 분리 전부터 가로방향 균열이 발생해 일제강점기에 이를 석고로 보강했지만 현재 보강부 주변으로 추가적인 균열과 탈락이 발생하고 있어 구조적인 손상도 심화되고 있다.

문화재청이 지난해 실시한 국가지정문화재 정기조사에서 벽화의 보존처리 필요성이 제기됐다. 올해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치면서 전면 보존처리가 결정됐다.

이에 따라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지난 2일부터 벽화 표면 보수작업을 시작해 벽화 6점을 포장했다. 17일과 18일 양일에 거쳐 국립문화재연구소(대전)로 운송했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먼저 벽화의 상태를 정밀진단하고 비파괴 검사를 통해 손상 진행 현황과 그 원인을 철저히 조사할 예정이다.

또한 과거의 보수재료들을 일부 제거하고, 벽화를 재처리하기 위한 재료 연구와 보존처리를 진행하게 된다. 아울러 고려 후기 벽체의 구조와 벽화 제작기법에 대한 연구도 계획하고 있다.

이같은 보존처리와 연구는 올해부터 2026년까지 7년간 수행할 예정이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심각하게 손상된 부석사 조사당 벽화가 본래의 모습을 되찾고 안정된 상태로 보존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연구와 보존처리를 실행할 예정이다.

또한 과학적 조사와 보존처리 과정에서 도출되는 연구성과는 국민에 공개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