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소방재난본부
ⓒ 서울 소방재난본부

최근 3년간 서울 시내에서 화재로 숨지거나 다친 사람이 꾸준히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서울시 소방재난본부가 발표한 최근 3년간 화재와 인명피해 통계에 따르면 화재 사상자는 사망 104명, 부상 704명 등 808명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는 2015년 249명, 2016년 276명, 지난해 283명 등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이 가운데 사망자는 2015년 27명, 2016년 40명, 지난해 37명이었다.

재산 피해는 2015년 143억3000만원, 2016년 141억2000만원, 지난해 153억3000만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최근 3년간 화재 사망자 104명을 유형별로 살펴봤더니 '원인 미상'이 34명(32.7%)으로 가장 많았다. 원인이 규명된 화재 중에서는 방화(방화 의심 포함)가 33명(31.7%)으로 수위를 차지했다.

▲ 화재 사망자 원인 ⓒ 서울 소방재난본부
▲ 화재 사망자 원인 ⓒ 서울 소방재난본부

이어 부주의 20명(19.2%), 전기적 요인 16명(15.4%), 가스 누출(폭발) 1명(1%)이 각각 그 뒤를 이었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방화는 휘발유나 시너 등 가연성 액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불이 빨리 번져 대피가 어렵다"며 "방화 피의자들에게는 주변인을 대피시킬 의지가 없다는 점도 인명피해가 큰 이유"라고 분석했다.

사망의 원인은 유독가스 연기흡입을 동반한 화상이 76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화상 17명, 피난 중 뛰어내림 5명, 복합 원인 3명, 넘어지거나 미끄러짐 1명, 기타 1명, 미상 1명 등으로 각각 집계됐다.

장소별로 따져보면 사망자의 대부분인 79명(76%)이 주거시설에서 희생됐다. 주거 형태는 단독주택이 43명(54.4%)으로 가장 많았고 공동주택 34명(43%)·기타 2명(2.5%) 순이었다.

계절별로는 겨울 36명(34.6%), 봄 29명(27.9%), 가을 27명(26%), 여름 12명(11.5%)으로 각각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50대 희생자가 29명으로 최다였다.

시간대별로는 0∼오전 2시가 16명(15%), 오후 10∼0시와 오전 4∼6시가 각각 11명(10.6%)으로 분석되는 등 오후 10시부터 다음날 오전 6시 사이에 48명(46.1%)이 숨졌다.

▲ 시간대별 화재 사망자 현황 ⓒ 서울 소방재난본부
▲ 시간대별 화재 사망자 현황 ⓒ 서울 소방재난본부

서울 소방재난본부는 "심야 시간에는 잠이 들어 화재를 늦게 발견해 대처 능력이 떨어져 인명피해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짚었다.

서울 소방재난본부는 화재 피해를 줄이고자 불이 났을 때 경보로 알려주는 단독경보형감지기와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기를 비치해달라고 당부했다.

정문호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장은 "심야 시간에는 잠이 들어 화재를 늦게 발견해 대처 능력이 떨어져 인명피해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며 "화재 피해를 줄이고자 불이 났을 때 경보로 알려주는 단독경보형감지기와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기를 비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