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에 있는 위험물질 사업장 정보가 올해 상반기 안에 하나의 시스템으로 관리된다.

12일 부산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4억원을 들여 낙동강유역환경청, 부산경찰청과 함께 각 기관에서 따로 관리하는 위험물질 정보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묶는 '위험물질 통합관리시스템(HUMS)'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 시스템이 운용되면 위험물질 사업장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불이 크게 번지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소방대원의 안전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금까지는 위험물질 사업장 화재나 안전사고를 119종합작전상황실에서 접수하면 사고물질 현황과 대응 매뉴얼을 검색해 화재현장에 출동하는 소방대원들에게 전파했는데, 이런 작업을 하는데 10분 이상 걸렸다.

이 시스템이 가동되면 위험물질 사업장 관련 정보가 현장에 가는 소방대원의 단말기로 자동 전송된다.

현장에 출동하면서 화재진압 작전을 구상할 수 있어 초기대응이 빨라지고 소방대원의 안전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소방본부 측은 보고 있다.

이들 기관은 위험물질 통합관리시스템을 더 발전시켜 가스류(고압가스안전관리법), 방사성물질(원자력법), 마약류(마약류관리에관한 법률), 농약(농약관리법 등) 정보도 현장에 출동하는 소방대원에게 제공할 예정이다.

위험물질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모든 사고의 초동대응은 소방에서 담당하고 있지만 위험물질은 3개 기관에서 따로 관리하고 있어 신속한 대응에 문제가 있었다.

3개 기관이 관리하는 위험물질 사업장은 6천980곳에 이른다.

소방안전본부가 4천300여 곳으로 가장 많고, 환경부 산하 낙동강유역환경청이 관리하는 사업장이 2천620 곳, 경찰청이 관리하는 위험물질 사업장이 30곳이다.

실제로 지난해 8월 중국 톈진항 폭발사고 때 현장 정보가 없어 큰 2차 피해가 발생했다.

사고현장에 물과 섞이면 폭발하는 물질이 보관돼 있다는 것을 모르고 물을 뿌리는 바람에 소방대원 112명이 숨지고 민간인 900여 명이 숨지거나 다쳤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