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희영 서울 용산구청장. ⓒ 세이프타임즈
▲ 박희영 서울 용산구청장. ⓒ 세이프타임즈

이태원 참사 당시 재난 상황 예방 업무를 전담하는 서울 용산구 방재안전직 직원이 고작 9급 공무원 1명이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세이프타임즈가 용산구에 확인한 결과 28일 현재까지도 방재안전직 공무원은 1명인 것으로 드러나 안전불감증이 여전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방재안전직은 기술직 공무원으로 재난안전 분야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2013년 도입됐다. 안전 분야 전담 공무원을 양성해 여러 재난에 대응하겠다는 취지다.

서울지역 25개 자치구 중 방재안전직 공무원이 1명만 있는 자치구도 15곳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용혜인 의원(기본소득당·비례)이 서울시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지난달 29일 용산구의 방재안전직 공무원은 안전재난과에 있는 9급 공무원 1명이었다.

서울지역 방재안전직 공무원은 72명이다. 서울시청에는 2018년 27명 대비 올해까지 4명이 늘어 방재안전직 공무원이 31명이 됐지만, 용산구는 같은 기간 한 명도 늘어나지 않았다.

용산구를 비롯해 방재안전직 공무원이 1명만 있는 자치구는 강동구, 관악구, 금천구, 동작구, 서초구, 성동구, 은평구 등 15곳이다.

방재안전직 공무원이 2명인 자치구도 종로구, 중구, 마포구 등 7곳에 달했다. 3명 이상인 자치구는 구로구(3명), 송파구(3명), 광진구(6명)다.

▲ 서울 이태원역 1번출구에 이태원 참사 추모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 세이프타임즈
▲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1번출구에 추모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 세이프타임즈

방재안전직 공무원의 직급도 하위직에 머물러 재난 안전 관련 전문성을 확보해 나가기에는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25개 자치구 방재안전직 공무원을 직급별로 살펴보면 △6급 6명 △7급 14명(임기제 4명 포함) △8급 10명 △9급 11명으로 하급 공무원에 집중돼 있다.

자치구들은 방재안전직 공무원이 부족해 행정 등 타 부서 인원들의 순환 근무를 통해 재난·안전 부서의 인원을 채우는 실정이다. 용산구는 안전재난과 27명 중 1명만 방재안전직으로 확인됐다.

2014년 '세월호 참사' 이후 방재안전직의 중요성이 부각됐지만, 과중한 업무 등으로 인해 기피 대상으로 여겨지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퇴사자도 속출하고 있다. 2017년 행정안전부의 자체 조사 결과에 따르면 방재안전직의 조기 퇴직률은 11.1%로 전체 지방공무원 퇴직률 0.8%의 14배다.

방재안전직 중 87%가 직무만족도가 낮거나 보통으로 나타났고, 만족도가 낮은 이유로는 업무량 과중(39%), 낮은 처우(23%), 잦은 비상근무(15%) 등의 순이었다.

용혜인 의원은 "10만 인파 집중 등 이태원 참사 징후가 지속해서 나타났지만 서울시·용산구가 제대로 된 재난방지 대책을 수립하지 못한 배경 뒤에는 재난안전에 대한 전문성 확보를 소홀히 한 구조적 원인이 존재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태원 참사 이후 대책 마련에 있어 방재안전직의 인력충원과 처우개선을 반드시 논의해야 할 것"이라며 "재난안전 체계를 정부가 책임을 갖고 대대적으로 정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