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당서울대병원 정형외과 교수 연구팀의 엑스레이 사진만으로 안짱걸음 진단이 가능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관련 연구가 정형외과 최고 권위 국제학술지인 ‘미국 골관절외과학회지’에 게재됐다. 왼쪽부터 박문석 교수, 민재정 전임의, 윤기범 박사. ⓒ 분당서울대병원
▲ 분당서울대병원 정형외과 교수 연구팀의 엑스레이 사진만으로 안짱걸음 진단이 가능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관련 연구가 정형외과 최고 권위 국제학술지인 미국 골관절외과학회지에 게재됐다. 왼쪽부터 박문석 교수, 민재정 전임의, 윤기범 박사. ⓒ 분당서울대병원

분당서울대병원은 엑스레이 사진만으로 안짱걸음 진단이 가능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관련 연구가 국제학술지에 게재됐다고 3일 밝혔다.

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관련 연구는 정형외과 박문석 교수, 민재정 전임의, 윤기범 박사 연구팀이 진행했고 정형외과 최고 권위 국제학술지인 '미국 골관절외과학회지'에 게재됐다.

안짱걸음은 양쪽 허벅지뼈 혹은 종아리뼈가 안쪽으로 비틀어져 걷는 걸음으로 소아기에 흔하게 나타난다.

특히 신경 근육계의 조절이 어려운 뇌성마비 환자의 경우 운동 능력이 좋지 않아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연구팀은 기존 진단 장비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통상적으로 촬영하는 환자 엑스레이 사진만으로 3차원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개발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실제 임상 환경에서 활용 가능한지 분석했다.

연구팀은 2차원 엑스레이 사진을 기반으로 뼈의 3차원 영상을 재건하고 이를 실제 모양에 가깝게 보정하는 통계 형상 모델과 자가 보정 기술을 개발했다.

▲ 모바일 진단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재건한 3차원 사진(아래쪾)으로 3차원 CT 사진(위쪽)과 비교해 정확도 높은 영상을 구현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분당서울대병원
▲ 모바일 진단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재건한 3차원 사진(아래)으로 3차원 CT 사진(위쪽)과 비교해 정확도 높은 영상을 구현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분당서울대병원

이러한 기반 기술들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고 환자 엑스레이 사진과 모바일 기기만으로 손쉽게 뼈의 3차원 영상을 만들어 종아리뼈가 비틀어진 정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됐다.

또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재건한 종아리뼈의 3차원 영상은 임상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도의 높은 정확도를 나타냈다.

연구팀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으로 재건한 3차원 영상과 3차원 CT 영상으로 뼈가 비틀어진 각도를 측정해 비교한 결과 두 진단결과 간의 상관계수는 0.865로 결과에 큰 차이가 없는 수준이었고 이는 임상적으로 유의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였다.

연구 결과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면 병원에서 일반적으로 촬영하는 엑스레이 사진만 있으면 안짱걸음의 원인을 정확하게 진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특별한 장비가 없어도 대부분의 진단 의료기관에서 간단하게 활용할 수 있고 환자들이 뼈의 3차원 영상을 만들기 위해 별도의 검사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을 지닌다.

박문석 교수는 "이 연구를 통해 통상적으로 촬영하는 엑스레이 사진만으로도 정확도 높은 3차원 영상을 만들 수 있게 될 것"이라며 "이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다면 유소년기 환자의 안짱걸음의 원인을 확인하고 적절한 치료를 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