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성기혁 교수팀 위험인자 분석

▲ 교정전 엑스자 다리(왼쪽)에 대해 8자 금속판을 이용한 대퇴골 내측 반성장판 유합술하고 교정된 다리. ⓒ 분당서울대병원
▲ 교정전 엑스자 다리(왼쪽)와 8자 금속판을 이용한 대퇴골 내측 반성장판 유합술하고 교정된 다리. ⓒ 분당서울대병원

분당서울대병원은 10세 이하의 소아 환자가 오다리, 엑스자 다리 수술을 받으면 재발 위험이 커진다고 31일 밝혔다.

성기혁 정형외과 교수팀은 O자형, X자형 다리 치료를 위해 금속판을 이용한 반성장판 유합술을 받은 소아환자를 대상으로 다리 변형이 교정돼 금속판을 제거한 후 발생하는 반발현상과 위험인자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반성장판 유합술은 O자형, X자형 다리로 병적인 변형이 있는 소아에 대해 8자 모양의 금속판을 이용해 일시적으로 한쪽 성장판의 기능을 억제해 성장하면서 변형이 교정될 수 있도록 하는 수술방법이다.

▲ 성기혁 분당서울대병원 교수
▲ 성기혁 분당서울대병원 교수

교정이 완료되면 성장이 재개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어린 나이에 진행이 가능하고 효과적인 교정을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나치게 이른 나이에 수술 하면 오히려 재발 위험이 높아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반성장판 유합술을 진행한 94명의 성장판을 대상으로 재발위험인자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BMC Musculoskeletal Disorders 최신 호에 실렸다

평균나이는 11세였고 변형이 교정돼 금속판을 제거한 후 5도 이상의 변형이 재발한 경우 재발군으로 그렇지 않은 경우를 비재발군으로 분류했다.

그 결과 41명이 재발군, 53명이 비재발군에 속했는데 재발군의 수술 시 평균 나이는 10.2세로 비재발군의 11.7세에 비해 유의미하게 연령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재발군의 교정속도는 1년간 10.2도로 비재발군의 교정속도가 1년간 6.5도인 것에 비해 유의미하게 빨랐다.

회귀분석 결과 변형의 교정속도가 수술 후 변형 재발의 위험인자인 것으로 나타났고 교정 속도가 1년에 1도 증가할수록 재발 위험은 1.2배나 증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재발군과 비재발군을 나누는 분기점은 7도였다. 교정속도가 7도 이상인 환자의 경우 금속판 제거 후 증상이 재발할 위험이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기혁 교수는 "소아에서 오다리나 엑스자 다리는 금속판을 이용한 반성장판 유합술로 교정할 수 있지만 교정속도가 빠른 소아 환자 그 중에서도 특히 1년에 7도 이상인 환자는 교정이 된 후에 금속판을 제거했을 때 재발현상을 보일 위험이 높으므로 추가적인 관찰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10세 이하로 너무 어린 나이에 수술하는 경우는 재발 위험이 커지므로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적절한 시기에 수술받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