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탄소공간지도 주요 해외 사례 ⓒ 국토교통부
▲ 탄소공간지도 주요 해외 사례. ⓒ 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는 21일 도시정책관 주재로 도시·환경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정책간담회를 열고 탄소공간지도 구축·활용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탄소공간지도는 탄소의 배출·흡수량 정보를 도시와 지역의 공간단위 기반으로 시각화, 지도화한 것으로 탄소중립형 도시계획 수립·탄소중립도시 조성 등에 활용된다.

이는 2050 국토교통 탄소중립 로드맵에서 탄소중립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국토·도시 분야의 탄소 배출과 흡수량 데이터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시작됐다.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 시행령에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역·공간 단위의 온실가스 배출량·흡수량 등의 정보를 반영한 지도를 작성할 수 있도록 근거를 마련해 착수했다.

미국, 영국, 일본 등 해외서는 2000년대 초반부터 탄소공간지도를 제작해 공간계획 수립에 적극 활용해 왔다. 특히 일본은 도시구조·교통정책에 따른 탄소감축 효과를 간편하게 진단·평가하는 공간 분석도구를 개발·활용하고 있다.

국토부는 기존의 탄소배출량 정보로는 지역과 도시 차원의 탄소배출량을 정확히 측정하거나 이를 관리·개선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이에 국토부는 해외 주요국가들과 같이 국토와 지역· 도시 차원의 공간단위 탄소배출·흡수량을 정확히 나타낼 수 있는 탄소공간지도를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구축했다.

국토부는 올해 안으로 탄소공간지도 표준모델을 구축하고 정책 활용방안을 마련하는 연구용역을 추진하고 내년에는 탄소공간지도 서비스를 계획하고 있다.

먼저 탄소배출량 데이터를 구축하고 도시 내 공원, 녹지, 유원지 등 토지용도별 공간정보 데이터를 통해 탄소흡수량을 산정해 탄소공간지도의 데이터 모델을 제시한다.

국토이용정보 통합플랫폼의 도시계획 현황 정보, 통계지리정보서비스(SGIS)의 공간별 인구·교통정보 등 기존 정보를 연계하고 탄소공간지도에 정기적으로 토지이용 현황, 교통량 변화, 인구변화 등을 반영할 예정이다.

이후 탄소공간지도의 정확성과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탄소공간지도를 고도화하는 연구개발사업(R&D)도 추진할 계획이다.

앞으로 탄소공간지도는 정부가 도시별 탄소중립수준을 파악하고 탄소중립기본법에 따라 탄소중립도시를 선정해서 지원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전망이다.

특히 각 도시들이 탄소공간지도에 기반해 효과적인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공간구조·교통체계·공원녹지 등에 탄소중립 도시계획 요소를 반영해 탄소중립도시를 조성하는데 적극 활용될 계획이다.

길병우 국토부 도시정책관은 "탄소공간지도는 탄소 배출원 중심의 부문별 접근 한계를 탈피하고 지역·도시 등 공간 단위 중심의 통합적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탄소공간지도를 기반으로 지역 특성이 반영된 탄소중립형 도시계획을 수립하도록 하여 전 국토의 탄소중립 달성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