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일 경남 창원시 석동정수장에서 '깔따구 유충'이 발견됐다. 그 후 정수장뿐만 아니라 가정집 수돗물에서도 유충이 나온다는 민원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수돗물에 대한 시민 불안이 커지고 있지만 당국의 대시민 대응이 시민들의 불안감을 더 키우고 있다.

창원시는 깔따구 유충 첫 발견 후 36시간이 지나서야 이 사실을 공개했다. 시의 공식 브리핑은 닷새 만에 열렸다. 이후에도 수돗물에서 계속 유충이 발견되고 있지만 시는 시민들에게 비상 급수 등의 대책보다 먹는 물 수질 기준을 충족하고 있으니 끓여 마시라는 지침을 내렸다. 

불투명한 대응으로 시민들의 불안감을 증폭시킨 것도 모자라 일방적인 대응만 이어오고 있다.

시민들에게 안전하고 깨끗한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해 인력과 예산을 지원해야 하는 창원시장과 시의회는 수돗물 사고에 가장 큰 책임을 져야 하지만 고통받는 시민들 앞에 나타나지도 않고 있다. 

깔따구 유충 유입의 일차적 원인은 낙동강 원수에 있다. 하지만 매년 여름만 되면 녹조가 창궐하고 독성 물질로 인해 수질도 악화되고 있지만 관리 주체인 환경부는 뚜렷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환경부는 2020년 인천 수돗물 유충 사고 후 재발 방지를 위해 수돗물 위생관리 종합 대책을 마련했다. 하지만 당시에도 목표와 방향 없이 백화점식으로 열거한 대책이라는 비판이 있었다.

창원시 뿐 아니라 비슷한 시기에 수원에서도 유충이 발견됐고 창원시는 사고 발생 즉시 환경부에 보고해야 한다는 지침을 위반해 대응 시기마저 놓쳤다.

수돗물 위생관리 종합 대책이 과연 실효성 있는 대책인지 의문이 든다. 결국 이 사태는 부실한 지침을 만들고 원수와 정수시설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환경부와 창원시가 합작해 만들어낸 결과다.

국민이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수돗물을 생산, 공급하기 위해 그동안 국가 관련 기관과 사업 주체가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일부 성과도 있었지만 음용율은 수십년 동연 제자리걸음이다.

가장 큰 원인은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다. 수돗물 사고가 발생하면 신속하게 대응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책을 제시하며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해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 하지만 창원 깔따구 유충 사고의 대응은 수돗물에 대한 시민 불안감만 키웠다. 

당국은 지금이라도 수돗물 사고 대응 매뉴얼을 개선하고 안전한 수돗물 공급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원수 수질 개선을 요구하는 지역 주민의 목소리도 들어야 한다.

반복되는 수돗물 유충 사고를 막기 위해 환경부의 수돗물 위생관리 종합 대책에 대한 보완도 강력히 요구한다. 기초 지자체 수도사업에 이 대책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점검이 필요하다.

기온이 높아지고 홍수 등 자연재해가 많이 발생하는 여름철에는 수돗물 관련 사고가 더 자주 발생한다. 본격적인 여름철을 앞두고 또 다른 수돗물 사고로 이어지지 않도록 당국의 신속한 대응과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 수돗물시민네트워크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