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주권시민회의 IPTV사 수익 공개
LGU+, KT 광고시간·횟수 SKB 약 2배

ⓒ 소비자주권시민회의
ⓒ 소비자주권시민회의

IPTV 소비자들은 돈을 내고도 '건너뛰기가 불가능한 광고'를 강제로 봐야 한다. IPTV 3사(LGU+, KT, SKB)는 3중 수익을 통해 7년간 5000억원의 광고수익을 챙겼다.

4일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소비자 권익 보호를 위해 IPTV 3사의 광고횟수와 매출액을 공개했다.

월정액·VOD이용료에 광고까지 '3중 수익'을 챙기고 있는 IPTV 3사가 지난 7년간 가져간 VOD 광고수익만 5000억원에 이른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 조사 결과 유료 VOD 평균 광고 시간은 LGU+ 28.9초, KT 25.5초로 SKB 15.4초인 것으로 나타났다. LGU+, KT는 SKB의 약 2배다.

영화 VOD 광고는 LGU+ 29.8초, KT 21.7초로 SKB의 0.8초에 비하면 노골적으로 광고 수익 극대화를 추구하고 있다.

본 영상이 시작되기 전 평균 광고횟수는 LGU+는 평균 1.3회, KT는 0.9회, SKB는 0.7회로 나타났다.

2021년 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 결과에 따르면 LGU+와 KT가 '광고시간 30초 초과 금지'라는 가이드라인 규정에 맞춰 최대한의 광고를 배치했음을 알 수 있다.

IPTV 관계자들이 주장했던 VOD 광고 필요성은 고화질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 인프라 관리와 무료 VOD 콘텐츠 확대 등이다. 하지만 소비자가 체감할 수 있는 콘텐츠 확대는 많지 않다.

가입자들을 위한다는 무료VOD 역시 광고수익 창출의 수단일 뿐이다. KT만 봐도, 무료 TV다시보기는 80초(4개), 영화는 90초(5개)의 광고를 강제로 시청해야 한다.

ⓒ 소비자주권시민회의
ⓒ 소비자주권시민회의

IPTV 3사는 강제광고를 통해 노골적으로 수익을 극대화하고 있다.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의 '2021 방송통신광고비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IPTV 3사가 가져간 VOD 광고 매출액만 547억원 이상으로 추정된다.

올해는 이보다 많은 760억원 이상으로 예상된다. 2015년 이후 7년간 IPTV 3사가 가져가는 광고수익만 5000억원이 넘는다.

소비자들은 IPTV 3사에 월정액을 지불하고 추가로 VOD 이용료를 지불해야만 원하는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정당한 대가를 지불했음에도 IPTV 3사가 설정한 광고까지 강제로 봐야 하는 것은 소비자의 권익을 침해한 것이다.

규제기관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는 'VOD 광고'가 법적 사각지대에 있다며 방치하고 있다.

2016년 방송통신위원회는 "다른 경쟁 방송 사업자들도 광고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할 때 불법 행위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후 'VOD 광고 가이드라인'을 만들었지만 방송법상 VOD는 광고규제 대상에서 제외돼 행정지도만 가능하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 관계자는 "소비자 권익을 침해한 것이 명백한 만큼 방송통신위원회는 VOD 광고를 합리적으로 규제하는 방송법 정비를 서둘러 소비자 권익을 보호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소비자들은 광고수익 창출의 수단이 아니라 고객으로 바라보고 VOD광고가 아예 중단되길 바란다"며 "20초를 상회하는 LGU+와 KT도 유료VOD 강제광고를 SKB수준으로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