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순수 국내 기술로 설계·제작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ll)가 21일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되고 있다. ⓒ 연합뉴스
▲ 순수 국내 기술로 설계·제작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ll)가 21일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되고 있다. ⓒ 연합뉴스

21일 누리호 1차 발사가 목표 고도까지 비행하는 데까지는 성공했으나 탑재체를 궤도에 올리는 최종 임무에는 실패함에 따라, 향후 '완벽한 성공'을 위한 재도전 계획에 관심이 쏠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에 따르면 누리호의 2차 발사는 내년 5월에 이뤄질 예정이다.

이는 1차 발사의 결과와 무관하게 작년 12월에 미리 결정돼 있던 사항이다. 2차 발사 날짜는 잠정적으로 내년 5월 19일로 정해져 있다.

과기정통부와 항우연은 2차 발사 후에도 누리호와 동일한 성능을 가진 발사체를 또 만들어 4회에 걸쳐 추가로 '반복 발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대략의 일정은 2022년, 2024년, 2026년, 2027년으로 잡고 있다.

말하자면 누리호 발사체는 1·2차 발사에 이어 4회의 '반복 발사'까지 6차례 발사가 이뤄지게 되는 셈이다.

이런 반복 발사는 1t 이상의 위성을 우주로 실어나르기 위해 개발된 누리호 발사체의 성능을 점검하고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반복 발사 사업은 지난 6월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

과기정통부와 항우연은 이 사업을 통해 우주 기업에 발사체 개발 기술을 이전하고 항공우주 분야 체계 종합기업을 발굴·육성해 민간 주도의 우주 경쟁 시대에 국내 업체들이 경쟁력을 갖도록 도울 예정이다.

반복 발사 사업과 별개로 과기정통부와 항우연은 누리호 성능 개선 향상 사업 진행도 검토 중이다.

누리호 주력 엔진인 추력 75t급 엔진의 성능을 82t급까지 올리고 탑재 가능 위성의 무게도 1.5t보다 무거운 2.8t으로 늘릴 수 있게 개량한다는 게 주요 목표다.

누리호 성능 개선 향상 사업은 최근 예비타당성조사(예타)를 통과하지 못했으나, 과기정통부는 사업 계획을 보완해 예타를 재추진할 계획이다.

또 과기정통부와 국방부는 독자 개발한 고체 연료 기반 발사체를 2024년께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할 계획이다.

액체 연료를 쓰는 누리호와 달리, 고체연료 기반의 소형 발사체는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하고 발사 준비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

고체연료 기반 발사체는 그동안 한-미 미사일지침으로 인해 사용이 제한됐으나 지난해 7월 이 지침이 해제되면서 관련 기술 개발의 물꼬가 트였다.

정부는 국가 주도의 우주 개발인 올드 스페이스(Old Space)가 아닌 민간이 이끄는 뉴 스페이스(New Space) 시대가 온다고 보고, 발사체 기술을 포함한 우주항공 관련 기술을 빠르게 확보해 기업에 이전하고 국내 기업이 이 분야 세계 시장에서 선두그룹에 설 수 있도록 하는 데 힘을 쏟고 있다.

▶클릭하면 세이프타임즈 후원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