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룰 노원구가 지역 마을버스에 게시한 코로나블루·자살 예방 홍보물. ⓒ 세이프타임즈 DB
▲ 서룰 노원구가 지역 마을버스에 게시한 코로나블루·자살 예방 홍보물. ⓒ 세이프타임즈 DB

코로나 블루, 코로나 레드, 코로나 블랙….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무기력, 우울, 분노 등의 감정들이 자주 나타나게 되면서 생긴 신조어다.

'코로나 블루'는 코로나19와 우울감을 상징하는 파란색(blue)가 합성됐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사회적거리두기, 방역 조치 등으로 일상생활에 변화를 겪어 나타나는 우울증, 무기력감 등을 뜻한다.

학교, 직장, 대인관계 등에서 스트레스는 쌓이고 있지만 외출 제한, 노래방, 술집 등을 갈 수 없어 결국 우울증으로 표출된다.

전문가들은 "코로나 블루 환자는 외부활동 자제로 답답함과 코로나19에 언제 어디서 어떻게 감염될지 모른다는 두려움, 계속되는 활동제약으로 인한 무기력, 감염병에 관련된 정보와 뉴스에 대한 과도한 집착을 보인다"고 분석하고 있다.

'코로나 레드'는 코로나19와 분노를 상징하는 빨간색(red)가 합성된 신조어. 감염병 사태로 인한 스트레스가 지속적으로 쌓이고 경제적인 위기 등에 대한 분노의 감정이 커져 사소한 일에도 짜증과 화를 표출하게 된다.

코로나 블랙은 코로나19와 암담함, 처참함을 상징하는 검은색(black)이 합성됐다. 코로나 블루를 넘어 암담함을 의미하는 블랙의 상황까지 왔다는 것을 의미한다.

혼자 일상생활을 하기에 어려운 장애인과 경제적 취약계층, 자영업·소상공인 등이 삶에 큰 타격을 입으며 좌절, 절망감, 암담함을 크게 느끼는 현상이다.

코로나 블루, 레드, 블랙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스스로를 돌아보고 현재 상황 인정 △과도한 SNS 금지 △새로운 취미 △심리 상담 등이 있다.

SNS를 과도하게 사용하게 되면 자신과 타인을 비교하게 된다. "나는 이렇게 힘든데 이 사람은 잘 살고 있구나", "나는 매출이 안나와서 힘든데 이 사람은 그런 걱정이 없구나" 등의 열등감을 느끼게 되면서 더 우울해지고 무기력해 질 수 있다.

▲ 코로나 블루를 극복하기 위해 방의 벽면을 영화관 스크린으로 만들었다. ⓒ 강보경 기자
▲ 코로나 블루를 극복하기 위해 방의 벽면을 영화관 스크린으로 만들었다. ⓒ 강보경 기자

전문가들은 평소 취미가 스포츠 등 활동적이었다면 십자수, 요리, 인테리어, 홈트레이닝 등 실내에서 즐길 수 있는 취미로 바꿔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조언한다.

긍정적인 에너지를 만드는 생활 습관으로 바꾸는 것도 필요하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다. 정신과 의사, 심리상담사 등에게 자신의 힘든 점을 털어놓으면 마음이 한결 가벼워진다. 정신과 약을 먹고 있다면 과다 복용은 하지 말아야 한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코로나19 상황으로 건강염려증이 있는 사람들이 부분적으로 호흡기 질환은 없지만 열감과 피로감, 우울증, 불면증 등을 호소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우려로 우울증에 빠진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며 "정부도 정신상담센터를 통해 지원을 하고 있지만 상황이 장기화되면서 코로나 블루 환자가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tvN 유퀴즈온더블럭에 출연한 김지용 정신과 전문의는 "2019년 상반기에 비해 2020년 상반기에는 대부분의 진료과 환자가 줄었지만 유일하게 정신과만 많이 늘었다"고 말했다. 

석정호 강남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한국은 우울하거나 마음이 힘들다는 얘기를 하는 것이 익숙하지 않다"며 "국내도 코로나 사태를 계기로 마음이 아프다, 힘들다, 고통스럽다는 것들을 자연스럽게 얘기하고 나눌 수 있는 분위기가 되면 좋겠다"고 조언했다.

코로나 블루 등은 재난 상황에서만 발생하는 일시적인 우울감이다. 코로나19로 마음의 회복이 필요하다면 정신건강 전문가나 주변사람들에게 자신의 힘든점을 얘기하는 용기가 필요하다. ⓒ 세이프타임즈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