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탱크
▲ 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탱크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를 바다에 방출하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가장 큰 원인은 비용 절감으로 추측된다. 해양 방류가 대기 방출보다 돈이 덜 들기 때문이다.

이에 앞서 일본 정부는 오염수 처리 방안으로 해양 방류 안과 대기 방출, 그리고 두 가지를 병행하는 방식 등 3개 안을 고려했다. 이중 방사성 물질 확산 상황 예측과 감시체제 구축이 쉽다는 이유로 일본 정부는 해양 방류를 선택할 것으로 예측된다.

올해 9월 기준 후쿠시마 원전 부지에는 약 1천개에 달하는 탱크에 123만t의 방사능 오염수가 저장돼있다. 빗물과 지하수 등이 유입되면서 하루 160∼170t의 오염수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도쿄전력은 2022년 말이 되면 더는 오염수를 보관할 수 없게 된다며 일본 정부에 조속한 대책을 요구하고 나서 2022년께부터는 어떤 방식으로든 오염수가 방출될 것으로 보인다.

대기 방출은 해양 방류보다 돈이 더 많이 든다. 지상에 방사성 물질을 보관할 수 있는 저장소를 확보해야 하고, 대기 방출을 하려면 고온에서 오염수를 증발시켜야 하는 과정도 필요하다.

이정윤 원자력안전과미래 대표는 23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일본이 바다 방류를 결정하는 이유는 돈이 제일 적게 들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상에서는 방사성 물질이 반감기를 여러 번 거치려면 최소 100년쯤은 저장해야 한다. 그러려면 10조원 정도의 비용이 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바다로 버리거나 지상에 저장하거나 똑같이 비용이 들긴 하지만, 바다 방류에는 탱크가 필요 없기 때문에 10조원 정도가 덜 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문제는 일본 정부가 오염수 해양 방류를 강행할 경우 오염된 수산물을 섭취해 신체 내에 방사성 물질이 쌓여 내부 피폭이 일어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특히 후쿠시마 오염수에는 '삼중수소'(트리튬)라는 물질이 포함돼 있다. 삼중수소는 신체에 축적될 경우 DNA 변형을 일으키거나 생식기능을 떨어뜨릴 수 있다.

그런데도 한국 정부는 뚜렷한 대응 방침을 마련하지 못했다. 원자력 안전과 규제를 담당하는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올해 4월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NRA)에 오염수 폐기 방법과 안전관리에 대한 질의서를 보냈다.

하지만, 방사성 핵종별 농도 한계, 방출 총량, 방사능 환경영향평가 등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처리 이행 계획서에 담겨 있지 않다는 모호한 답변만 받았다.

원안위 관계자는 "방출 방침이 결정되면 도쿄전력이 세부 계획을 수립해 원자력규제위원회에 제출하고 승인을 받는다. 그 단계에 도달해야 우리 측에서도 어떻게 이야기할지 알 수 있다"며 "일본 공식 입장은 '결정된 게 없다'는 것이어서 아직 뚜렷한 자료를 받지는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엄재식 원안위원장도 국회 국정감사에서 "일본 정부는 투명하고 정확한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는 원론적인 대답만 되풀이했다.

정부는 국무조정실에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출 대응 관계부처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범부처 차원으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그렇지만, 이 역시 "일본이 오염수 방출을 결정할 경우 일본에 투명한 정보 공개를 요구하고 국제사회와 협의하겠다"는 미온적인 반응뿐이다. ⓒ 연합뉴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