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작 피해가 없는  1년차 '천궁' 재배지 ⓒ 산림청
▲ 연작 피해가 없는 1년차 '천궁' 재배지 ⓒ 산림청

코로나19로 면역력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약재에 대한 관심도 상승하고 있다. 천궁, 당귀 등 산림약용자원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이 가운데 천궁은 기후변화에 예민해 해발고도가 높은 서늘한 지역에서만 재배할 수 있다. 특히 연작장해로 매년 재배지를 옮겨 다니는 번거로움으로 생산량과 재배면적은 계속 감소하고 있다.

작물의 연작재배는 토양미생물의 다양성과 군집 구성에 영향을 주어 토양미생물을 변화시킨다. 이는 작물 생산성에 부정적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토양미생물에 관한 연구는 작물의 연작장해 원인 규명에 필수적이다.

이에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국내 대표 산림약용자원인 천궁의 지속가능한 생산을 위해 천궁 재배지의 토양미생물(세균, 곰팡이) 군집분석을 통해 천궁 연작장해의 원인 가운데 토양특성과 토양미생물간의 상호관련성을 규명했다고 1일 밝혔다.

토양미생물 중 곰팡이 군집은 토양 pH, 칼슘과 유효인산(P2O5)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작 재배지에서 병원성이 높은 Fusarium균의 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곰팡이 균은 적합한 조건이 되면 시들음병이 발병하는 특성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시들음병에 감염된 천궁은 뿌리 끝부분이 썩어 있고 뿌리 생육이 저해된다. 시간이 지나면 지상부 위쪽의 잎도 시들게 돼 결국에는 식물체 전체가 시들어 말라 죽는 병징을 나타낸다.

연작장해는 토양 이화학적 특성, 미생물 등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정확한 원인 파악이 매우 어렵다.

산림약용자원연구소 정충렬 박사는 "토양 이화학적 특성과 토양미생물 군집분석을 통해 연작장해의 원인을 일부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며 "지속적인 연작장해 원인 규명을 통해 천궁 재배자들의 생산성 증대에 기여하고, 재배지 토양의 건전성 확보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한국환경농학회지 2020년 3월호와 한국약용작물학회지 2020년 6월호에 각각 게제됐다. ⓒ 세이프타임즈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