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연구에 참여한 만성 족관절 불안정증 환자의 타원형 뼛조각. 뼛조각이 있으면 만성 족관절 불안정증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타원형인 경우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서울대병원
▲이번 연구에 참여한 만성 족관절 불안정증 환자의 타원형 뼛조각. 뼛조각이 있으면 만성 족관절 불안정증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타원형인 경우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서울대병원

발목에 비골하부골, 이른바 '뼛조각'이 생기면 수술을 적극 고려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서울대병원 정형외과 이동연교수·강원대병원 이두재교수·CM 충무병원 신혁수과장 공동연구팀은 보존적 치료를 받아온 만성 족관절 불안정증 환자 25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3명 가운데 1명꼴로 뼛조각이 관찰되고 80%는 타원형, 크기도 비교적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만성 족관절 불안정증은 반복적으로 발목 염좌가 발생하는 증상이다. 관절 인대가 늘어나거나 찢어지는 염좌는 일상에서도 쉽게 경험할 수 있다.

늘어난 인대는 대개 시간이 지나면서 회복된다. 다만 증상이 심하거나 인대가 비정상적으로 복원되면 발목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 결국 같은 부위를 계속해서 다치는 만성 족관절 불안정증에 이르게 된다.

비골하부골은 인대가 손상될 때 함께 떨어져나갔지만 회복과정에서 봉합되지 못한 뼛조각이다.

이번 연구는 발목에 뼛조각이 발견되면 적극적인 수술이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만성 족관절 불안정증 환자 중 상당수에서 뼛조각이 발견됐기 때문이다.

특히 형태가 타원형이거나 크기가 크다면 보존적 치료에 실패할 가능성이 더 높은 만큼 보다 적극적인 치료를 고민해야 한다.

이동연 교수는 "발목 불안정증을 호소하는 환자의 상당수에서 뼛조각이 발견됐고, 형태에 따라 보존적 치료보다 적극적 치료가 효과적일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며 "특히 소아청소년기에 발목 외상이 생기면 뼛조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만큼, 석고 고정 등 적극적 치료가 권장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미국족부족관절정형외과 공식 학회지(Foot and ankle international) 2월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