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송이(외국품종과 새한, 도담) 발생형태. ⓒ 농진청
▲ 양송이(외국품종과 새한, 도담) 발생형태. ⓒ 농진청

농촌진흥청은 국산 양송이 보급률이 65.1%로 품종 점유율에서 외국 품종을 역전했고, 고온에 강한 품종을 추가 보급해 2020년에는 보급률을 7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8일 밝혔다.

학교 급식이나 이유식, 외국 요리 등에 많이 이용하는 양송이는 프랑스에서 최초로 인공재배가 시작된 버섯이다.

그 동안 우리나라는 미국 A15 품종을 많이 재배했지만, 농진청이 2010년부터 국산 품종 개발을 시작해 2010년 4%에 머물던 양송이 보급률을 2018년 65.1%로 16배가량 끌어올렸다.

농진청이 지금까지 개발한 품종은 중고온성 '새도'와 '새한', 중온성 '도담' 등 8품종이다. 지난해 고온에 강한 '하담' 품종을 새로 개발함으로써 모두 9품종을 농가에 보급할 예정이다.

'하담' 품종은 일반적인 양송이 생육 온도(16도)보다 2도~4도가량 높은 20도 내외에서도 잘 자란다. 버섯이 단단하며, 갓의 벌어짐이 적고 형태가 뛰어나다.

봄과 가을 재배하기 좋은 품종으로는 중고온성(생육온도 13~20도) '새도'와 '새한' 품종이 있다.

'새도'는 2012년 육성한 품종으로 재배가 쉽고 균사 세력이 강해 배양 기간이 짧다.

'새한'은 2013년 육성한 품종으로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완성형 배지에 들어가는 품종이다. 재배가 쉽고 갓 색이 우수해 국산 양송이 품종의 65%를 차지하며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다.

겨울철에 좋은 품종은 중온성인(생육온도 13~18도) '도담'을 들 수 있다.

2017년 육성한 백색 양송이 '도담'은 다른 품종보다 낮은 온도에서도 버섯이 많이 발생해 실내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 재배하기 좋다. 기존 품종보다 단단하고, 재배 후기 색이 누렇게 변하는 기존 품종과 달리 갓 색이 흰색을 유지해 농가 선호도가 높다.

김동환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장은 "보급률도 중요하지만, 실제 농가에서 국산 품종을 다시 구매하는 것이 중요하기에 지속적으로 농가와 소비자 트렌드를 반영한 품종을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