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서북권직장맘지원센터는 '서울시 서북권역 미디어 산업 종사자 일·생활 균형 실태조사' 결과, 서북권 미디어 여성 종사자의 66%가 비정규직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6일 발표했다.

해당 자료는 미디어산업이 집적되어 있는 마포, 서대문 등 서북권의 미디어산업 여성 종사자 400명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다.

이들의 한 주 평균 근로시간은 46.3시간으로 임금근로자 평균 40.4시간보다 높았다.

비정규직 프리랜서의 특성상 근로시간을 정하지 않은 무규정이 오히려 장시간 노동을 낳는 것으로 분석됐다.

정규직의 월평균 소득은 278만원, 비정규직은 258만원으로 20여만원 차이가 났다.

정규직, 개인사업자의 소득은 상대적으로 높고, 비정규직 가운데 파견·용역 근로의 월평균 소득이 특히 낮았다.

설문에 참여한 사람들은 희망 개선사항으로 '임금 인상'을 꼽았다. 서울시 노동자 지원 기관이 해야 할 사업으로는 '노동 상담과 구제', '차별 개선을 위한 정책개발'을 우선순위로 선택했다.

실태조사는 7월 1일부터 8월 16일까지 7주 동안 조사원이 대면 면접 조사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5월부터 10월까지 통계청 등이 생산한 통계자료도 미디어 분야에 종사하는 직장맘의 기초 실태를 파악하는데 활용했다.

센터는 미디어 비정규직 직장맘이 서북권역에 대규모로 분포되어 있는 지역적 특성을 파악해 보다 구체적이고 현실성 있는 서비스를 발굴하기 위해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미디어 산업 내 높은 여성 비정규직 비율로 인해 모성보호제도의 수혜 가능성을 낮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모성보호제도는 고용보험 가입에 기반해 운영되는데, 용역·하청·프리랜서 등 특수고용 형태로 인한 높은 비정규직 비율로 고용보험 포괄률이 낮았다.

고용보험 포괄률은 서울시 사업체 종사자 수 대비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로 계산한 것이다.

2017년 여성 고용보험 포괄률은 서울시가 83.1%, 서북권역이 64.4%다.

미디어 산업 비정규직 직장맘들은 업무와 아이돌봄이 가능한 플랫폼 오피스에 대한 욕구가 높았다.

미디어 산업 종사자의 일·생활 양립을 위해 시와 정부가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한다고 생각하는 문제와 지원으로는 근무시간 단축, 직장 내 보육시설, 휴게시설 확충이 가장 많았다.

응답자들이 희망한 자녀보육시설은 직장 어린이집이 40.8%로 가장 높게 집계됐고, 일·생활 균형에 대한 도움 정도가 가장 높게 평가된 것도 직장 어린이집이었다.

심층면접에서 프리랜서 등 특수고용형태 비정규직 직장맘은 이동성을 고려해 업무와 아이돌봄이 동시에 가능한 복합지원형 공유 시설에 대한 욕구가 높았다.

센터는 노동 사각지대에 놓인 미디어산업 여성 비정규직 종사자들을 위한 정책방안을 모색하는 토론회를 오는 8일 오후 2시 상암동 DMC산학협력센터에서 개최한다.

서울노동권익센터와 공동 주최하는 토론회는 비정규직 직장맘들을 위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정책 과제를 논의하는 장이 될 예정이다.

신경아 한림대 사회학과 교수의 사회로 시작되는 토론회에서는 이정아 한국고용정보원 부연구위원의 '서북권 미디어산업 여성 비정규직 종사자의 노동실태와 특징'을 발표한다.

이에 대한 정책적 지원방안은 송용한 성공회대 민주자료관 연구위원이 발표한다.

양지윤 서북권직장맘지원센터장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동시장 내 사각지대에 배치된 직장맘들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서북권 유관기관과의 협력모델을 구축할 것"이라며 "직장맘을 위한 직접적인 현장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복합지원형 서비스를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