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이 담보되지 않은 사회는 모래성에 불과하다.

국민소득 3만달러 시대. 정부의 국가적 안전관리 시스템과 대국민 안전의식은 아직도 후진국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지금 이 순간에도 반복되는 크고 작은 안전 관련 사고로 인해 수많은 생명이 우리 곁을 떠나고 있다.

정부 통계를 보면 지난해 교통사고로 3781명, 화재로 369명이 사망했다. 또 건설재해 사고로 971명, 질병으로 1171명 등 모두 6300여명의 소중한 생명을 잃었다.

사고때마다 되풀이되는 정부의 '안전사회 구현'이라는 말이 부끄러운 통계다.

대형사고 때마다 법과 제도를 정비해 재발방지를 약속하지만 우리 사회 곳곳에서는 이를 비웃는 듯하다. 크고 작은 안전사고는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안전의 모래성을 쌓고 있는 것이 아닌지 되돌아 봐야 한다.

▲ 이명상 재난사회부장
▲ 이명상 재난사회부장

안전한 사회는 국가의 체계적인 안전관리 시스템 속에 성숙한 국민적 공감대를 통해 만들어진다.

선진 시민의식이 함께할 때 각종 사고로부터 생명을 보호받을 수 있다.

건설현장의 안전사고와 화재사고 대부분이 중소형 현장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같은 통계는 결국 그곳이 안전의 사각지대라는 것을 보여준다.

지속적으로 사고가 재발한다는 것은 이를 관리할 시스템이 마련돼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각종 산업현장에 투입되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기술적 문제는 뒤로하더라도 기본적인 언어조차 습득하지 못한 상태로 투입되는 것이 현실이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각종 산재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볼 수 있다.

점점 증가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재해예방 프로그램이 있기나 한 것인지 묻고 싶다.

국가의 경제 규모가 커지고, 삶의 질이 향상될수록 국민들의 안전에 대한 욕구는 비례해 높아지기 마련이다.

사망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교통·건설·화재·산업 4대 분야에 대한 범정부적 시스템을 시급히 점검해야 한다. 

대국민 안전의식 함양을 위한 캠페인도 절실한 시기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