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시시스템 신호 멈출 때까지 방치
독일연구소 자료 '기대수명' 허위 작성
한국지역난방공사 감사 결과 공개

▲ 지난해 12월 경기 고양시 백석역에서 파열된 온수관 ⓒ 연합뉴스 TV
▲ 지난해 12월 경기 고양시 백석역에서 파열된 온수관 ⓒ 연합뉴스 TV

지난해 12월 경기 고양시 백석역에서 온수관이 파열돼 도로에서 뜨거운 물기둥이 솟아올라 1명이 숨지고 50여명이 다쳤다.

당시 노후된 배수관이 원인으로 지목된 사고는 한국지역난방공사의 업무 태만이 불러온 '인재'로 드러났다.

난방공사는 온수관 누설을 실시간으로 알리는 감시시스템을 꺼놓고 독일 연구소의 잔여수명 조사결과를 조작했다.

감사원은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열수송관 안전관리실태' 감사 보고서를 2일 공개했다.

감사원은 백석역 온수관 파열을 계기로 국내 온수관 안전성, 관리 체계 등을 점검하는 내용을 '2019년 연간 감사 계획'에 반영해 지난 3월 조사했다.

감사원이 발표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난방공사는 온수 누설 등을 파악하기 위해 설치해 놓은 감시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었다.

감시시스템은 온수관 보온재 안에 설치해놓은 감지선이 누수 등으로 끊어지면 이상 신호가 울리도록 설계됐다.

감사 결과 난방공사는 이상 신호가 울리는 감지시스템을 방치했다.

난방공사는 이상 신호가 들리지 않을 때 미감시 구간으로 분류, 감시를 포기한 것으로 밝혀졌다.

난방공사는 이 같은 방식으로 8623개 구간 가운데 2245곳(26%)을 미감시 구간으로 만들었다.

난방공사는 노후 온수관 관리 대책에도 제대로 관여하지 않았다. 2010년 7월 난방공사는 온수관 중장기 유지관리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매설된 온수관에서 채취한 시료를 독일에 있는 전문연구소에 의뢰했다.

독일연구소에 따르면 24개 가운데 11개 샘플의 기대수명이 40년 이하로, 일부는 2018년 이전에 수명이 종료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공사 직원 A씨는 2년 뒤인 2012년 10월 연구소 결과를 조작해 기대수명이 더 높게 나오게끔 재산정했다. 재산정해도 6개 샘플의 기대수명이 40년 이하로 나오자 A씨는 해당 샘플을 제외한 채 독일 연구소의 평가결과를 보고했다.

조작된 연구결과를 기초해 나온 2014년 온수관 중장기 유지관리계획으로는 수명이 끝난 온수관을 확인할 수 없었다.

온수관 점검원도 토목·기계 분야에 경력이 없는 사람을 채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원 관계자는 "감시시스템을 원상복구해 보수를 제대로 하고, 온수관 잔여수명을 투명하게 평가해라"고 통보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