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부는 11일 ESS 화재 원인 4개를 공개했다. 이 가운데 전기충격이 일어날 때 보호체계가 미흡했던 점도 원인으로 꼽혔다. ⓒ 산업부
▲ 산업부는 11일 ESS 화재 원인 4개를 공개했다. 이 가운데 전기충격이 일어날 때 보호체계가 미흡했던 점도 원인으로 꼽혔다. ⓒ 산업부

산업통상자원부가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원인을 11일 공개했다. 화재가 일어난 현장은 배터리에 결함이 있거나, 전기 충격에 대한 보호체계가 부실했다. ESS 장치를 통합해 관리하는 체계도 없었다.

산업부는 전기, 배터리, 소방기관 등 19명의 전문가로 조사위원회를 구성했다. 이들은 5개월 동안 회의와 현장조사, 기업면담을 80회 이상 열어 사고원인을 분석했다.

전기안전공사, 한전 등 9개 기관 관계자 90여명은 ESS 구성품, 시스템에 대한 76개 항목을 만들어 사고원인을 실증했다.

먼저 조사위는 배터리를 해체한 결과 일부 셀에서 극판접힘, 절단·활물질 코팅 불량 등의 제조 결함을 확인했다. 하지만 조사위 관계자는 "과다한 전류가 흐르는 등 직접적인 발화 요소는 발견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반면 조사위는 전기충격에 대한 보호체계가 미흡해 화재로 이어졌을 수도 있음을 확인했다. 사고원인을 재현한 결과 외부 충격으로 배터리 보호장치가 손상돼 합선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직류접촉기(DC Contactor)도 폭발해 구리 전선까지 파손됐다.

조사위는 "절연 성능이 저하된 직류접촉기가 폭발해 2차 사고가 발생하면서 배터리에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배터리를 운영하는 관리체계도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위는 "배터리는 습기와 건조가 반복되면 먼지가 눌러 붙어 화재가 날 수 있다"고 말했다.

산지나 해안가에 운영되는 ESS는 큰 일교차로 다량의 먼지에 노출되기 쉬운 환경에서 운영됐다. 조사위는 "대부분 현장은 배터리 보관 기준을 지키지 않고 결선을 방치했다"고 말했다.

아울러 대부분 업체는 ESS 통합관리체계를 부실하게 운영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ESS는 여러 장치로 운영돼 하나의 통합된 시스템이 필요하다.

하지만 ESS안에 있는 EMS·PMS·BMS 장치간 정보 공유 체계는 물론 배터리와 장비 간 작동순서도 없었다. 조사위는 수리 후 배터리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지 않고 재가동 하는 등 여러 현장에서 미흡사례를 확인했다.

ESS 화재는 2017년 8월 전북 고창 화재를 시작으로 지난해 5월부터 23건의 화재가 발생했다.

태양광·풍력 연계용 시설이 17건으로 가장 많았고, 수요관리용 4건, 주파수 조정용 2건이 뒤를 이었다. 배터리를 충전한 후 대기하다 난 화재가 14건으로 충·방전 6건, 설치 3건보다 많았다.

지역별로 산지에서 14건으로 가장 많았고, 조립식 패널로 만들어진 시설에서 15건이 발생했다. 특히 운영기간이 1년 미만인 곳에서 화재가 자주 발생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ESS 안전조치 이행 점검팀을 구성해 사업장별 이행사항을 안내하고 점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