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궐련형 전자담배
▲ 궐련형 전자담배

흡연자의 사망률이 비흡연자의 1.6배인데다 기대여명도 8년가량 짧다는 분석이 나왔다.

보험개발원은 31일 세계 금연의 날을 맞아 2011∼2017년 국내 생명보험사들의 정액보험·실손의료보험 자료를 분석했다.

보험 가입자 가운데 흡연자 비중은 남성 16.2%, 여성 0.8%다. 연령별로는 30대 남성 20.4%, 여성 1.1%와 40대(남성 19.3%, 여성 0.8%)가 많았다.

남성 비흡연자 사망위험도를 100%로 가정할 때 남성 흡연자의 사망위험도는 164%로 나타났다. 흡연자가 사망할 위험률이 비흡연자의 1.6배가 된다.

연령별 비흡연자 대비 흡연자 사망 위험률은 50대 1.8배, 40대와 60대 이상 1.7배, 20대 1.6배, 30대 1.4배다. 여성은 통계량이 적어 분석 대상에서 제외됐다.

보험개발원은 "국내에서 발표된 기존 논문에도 흡연 사망위험도가 남성 기준 144~175%로 나타나 이번 분석 결과와 비슷하다"고 말했다.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암을 비롯한 각종 질병에 걸려 입원·수술하는 경우도 많았다.

비흡연자(100% 기준) 대비 흡연자의 암입원 위험률은 134%, 암수술은 131%로 나타났다. 모든 질병을 포괄 담보하는 질병입원 위험률은 154%, 질병수술은 141%다.

60세 남성을 기준으로 잔여 생존기간(기대여명)은 흡연자가 18.7년, 비흡연자가 26.6년이다. 흡연자의 생존기간이 8년 가까이 짧은 셈이다.

흡연자의 실손보험 지급보험금이 많은 질환은 식도암·위암·간암·대장암 등 소화기관 악성신생물로 8.1%다. 뇌출혈·뇌경색·뇌줄중 등 뇌혈관질환(6.2%), 위궤양·위염 등 식도, 위와 십이지장 질환(4.0%) 등으로 나타났다.

비흡연자에게선 찾아보기 어려운 허혈성심장질환(협심증·급성심근경색 등)과 간질환(간경병·간부전 등)에 따른 보험금 지급도 많은 편이다.

강호 보험개발원장은 "흡연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상대 위험도의 뚜렷한 차이를 감안할 때, 금연에 대한 사회적 인식 재정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흡연자 사망률 도표. ⓒ 보험개발원자료
▲ 흡연자 사망률 도표. ⓒ 보험개발원자료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