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5년간 2만4084건, 285명 사망"

▲  충북 청주의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는 고층 아파트에 화재가 발생 내부가 검게 탔다. ⓒ 세이프타임즈 DB
▲ 충북 청주의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는 고층 아파트에 화재가 발생 내부가 검게 탔다. ⓒ 세이프타임즈 DB

아파트와 연립·다세대 주택 등 공동주택에서 발생한 화재 가운데 60% 이상이 부주의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재 사망자는 새벽 시간대에 집중됐으며 절반 이상이 수면이나 음주, 장애 등으로 화재 상황에 제대로 대처하기 어려운 상태였다.

22일 행정안전부가 국토교통부·소방청 등 관계기관과 진행한 '공동주택 화재 원인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18년까지 공동주택에서 발생한 화재는 2만4084건이다.

이로 인해 285명이 사망하고 1996명이 다치는 등 모두 2281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공동주택 화재를 원인별로 부주의가 1만4872건으로 전체의 61.8%를 차지했다. 담배꽁초나 음식물 조리하다 자리 비우기 등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서 생긴 화재가 절반을 넘었다.

전기적 요인으로 발생한 화재가 20.3%인 4888건으로 두번째로 많았다. 기계적 요인 5.0%인 1208건, 방화와 의심포함 983건(4.1%), 가스누출 123건(0.5%) 등이다. 원인을 알 수 없는 화재는 2010건(8.3%)이었다.

공동주택 화재 사망자는 야간에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오전 1~3시가 44명으로 가장 많았다. 오전 3~5시(32명), 오후 7~9시(27명), 오후 11시~오전 1시(26명), 오후 9∼11시(25명) 순이다.

오후 7시부터 오전 5시에 공동주택 화재 사망자의 54.0%인 154명이 발생했다. 절반이 넘는 사망자는 수면이나 음주, 장애 등으로 화재 인지와 신속한 대응이 어려운 상태였다.

사망자 가운데 화재 발생때 수면 중인 경우가 84명, 음주상태는 39명이었다. 지체·정신장애인 사망자도 36명이다. 사망자의 55.8%(159명)가 화재 상황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거나 제때 대피하기 어려운 경우에 해당했다.

화재 인식후 피해자들이 본능적인 반응으로 피해를 키우거나 피난 경로를 확보하지 못해 부적절한 대피 수단을 택한 사례도 있었다.

화재를 신고하거나 주변에 알리지도 않고 문을 열어둔 채로 탈출해 불이 더 크게 번지게 한 경우도 있었다. 본능적으로 밝은 곳을 향하다 창문에서 추락해 사망하기도 했다. 창문으로 대피하려다 방범창 때문에 빠져나오지 못하고 익숙한 경로인 승강기로 대피를 시도하다 숨지기도 했다.

행안부는 조사결과를 근거로 화재 예방 교육·홍보 강화, 노후 공동주택 전기설비 정기점검 신설, 공동주택 피난시설 정보 제공 확대 등 10개 개선과제를 발굴해 관계기관에 이행을 권고하고 주기적으로 점검하기로 했다.

방에서 수면 중인 거주자도 경보음을 들을 수 있도록 화재 경보 벨 기준을 개선하고 대피공간·피난시설 기준 구체화, 화재때 행동요령 홍보 강화 등도 포함했다.

류희인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공동주택 화재 원인조사를 토대로 피해자들의 행동 패턴을 분석해 개선대책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 공동주택 화재 발생 건수와 인명 피해자료. ⓒ 행안부
▲ 공동주택 화재 발생 건수와 인명 피해자료. ⓒ 행안부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