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환경공단 직원이 안동·임하댐 통합센터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해 하수도시설을 점검하고 있다. ⓒ 환경부
▲ 한국환경공단 직원이 안동·임하댐 통합센터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해 하수도시설을 점검하고 있다. ⓒ 환경부

환경부는 인공지능으로 공공하수처리시설을 점검하는 '공공하수처리시설 지능화 체계 사업'에 착수한다고 20일 밝혔다.

이 사업은 지난달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진행한 '2019년 인프라 정보화 사업' 공모회에서 선정된 과제다. 공공하수처리시설에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인공지능 (AI) 등 기술을 적용한다. 한국정보화진흥원 관계자는 "첨단 기술로 공공서비스를 관리하는 정부과제에도 부합해 선정했다"고 말했다.

2019년 인프라 정보화 사업은 건설·교통·안전 등 국가시설에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등 정보기술을 적용해 정보 인력을 육성하기 위해 시작됐다.

환경부는 27억원을 투입해 내년까지 하루 3000톤을 감당하는 안동·임하댐 하수처리시설과 800톤을 감당하는 춘양공공하수처리시설에 지능화 기술을 적용할 계획이다.

공공하수처리시설은 그동안 관리자가 육안으로 점검해 보수여부를 정했다. 하지만 낙후된 하수처리시설은 보수 시기를 놓쳐 에너지 손실이 많이 발생했다.

보수시기를 놓친 하수처리시설은 낙후될 수록 고장 원인도 파악하기 어렵다. 원인 파악과 설비 수리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고 예산도 늘어난다. 하수처리비용은 2014년 1톤 당 186원이었지만 2017년 203원으로 꾸준히 오르고 있다.

하수처리시설에 설치된 사물인터넷 기반 센서는 수질이 오염되거나 전력 소비가 늘어나면 관리센터에 정보를 전송한다. 관리자는 이 정보를 토대로 빅데이터를 분석해 인공지능을 통해 보수여부를 결정한다.

환경부 관계자는 "사업이 적용되면 에너지 절감률은 2021년 2배 오르고, 설비 가동효율도 3배 이상 좋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번 사업에 금오공대, 와이뎁, 동문이엔티가 협업한다. 금오공과대는 데이터 검증, 와이뎁은 빅데이터 관리, 동문이엔티는 사물인터넷 감지기 설치를 전담한다.

환경부는 오는 7월 대구에 준공할 국가 물산업클러스터에 이 사업을 적용할 계획이다. 2021년부터 인공지능을 도입해 공공하·폐수처리시설을 점검한다.

장준영 환경공단 이사장은 "이번 사업을 계기로 다른 환경 분야에도 인공지능을 적용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