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탄광 지역 하천 중류가 상·하류보다 서식환경이 나빠 생물다양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이같은 내용이 담긴 생물지도 '낙동강 생물길II-황지천'을 16일 발간했다.

강원 태백시 등 폐탄광 지역을 흐르는 낙동강 발원지 황지천 8곳에 대한 생물의 다양성을 조사했다. 이를 자기조직화지도로 종합한 것이다.

자기조직화지도(Self-Organizing Map)분석은 인공신경망 분석법 가운데 하나로 자료의 그룹화, 시각화 등에 효율적이다. 해양·육상·담수 생태계의 생물다양성을 평가하는 분석기법이다.

결과를 보면 황지천 8곳에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81종, 식물은 196분류군이 서식한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눈으로 구별할 수 있고 척추가 없는 동물을 말한다. 분류학적으로 매우 다양하며 분류군마다 다양한 생활사를 가지고 있어 생물지표종으로 이용된다.

황지천 상류 2곳은 총채민강도래, 연날개수염치레각날도래, 고유종인 뿔하루살이 등 평균 34종으로 확인됐다. 폐탄광의 영향으로 중류 3곳은 깔따구류, 등애모기류 등 16종으로 감소했다.

하류 3곳에서는 플라나리아, 다슬기, 개똥하루살이 등 평균 32종으로 나타나 다시 상류 수준으로 회복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생물지도에는 황지천에서 서식하는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15종과 식물 15분류군의 생물 정보를 수록했다.

생물지도에 수록된 종에는 깨끗한 하천에 사는 검은머리물날도래, 평지 하천 등에서 발견되는 다슬기, 여우의 오줌 냄새가 나는 식물인 여우오줌 등이 있다.

서민환 낙동강생물자원관장은 "앞으로 주요 하천을 대상으로 담수 생물다양성의 생태 복원 사업 등에 활용할 계획"이라며 "생태 복원 사업 등에 자기조직화지도 분석법을 도입해 복원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분석해 효과적으로 할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