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병관리본부 자료
ⓒ 질병관리본부 자료

심장 활동이 심각하게 떨어지거나 멈추는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이 11년사이 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와 소방청은 119 구급대가 병원으로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사례 의무기록을 조사한 결과를 21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119 구급대에 의해 병원으로 이송된 급성심장정지 환자 건수는 2만9262건으로 11년 전인 2006년보다 50% 이상 증가했다.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증가하다 이후 감소 추세다.

발생률은 지난해 기준 인구 10만명당 57.1명이다. 환자 성비는 남성이 64~65% 정도로, 여자보다 2배 정도 많았다.

급성심장정지가 발생하는 주된 원인은 질병으로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했다. 이 가운데 심근경색, 심부전, 부정맥 등의 심장 질환이 95% 이상이었다.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장소는 가정으로 전체의 약 50%를 차지했다.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지난해 생존율은 8.7%로 2006년 2.3% 대비 대비 3.8배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급성심장정지 환자가 퇴원 당시 혼자 일상생활을 할 수 있을 정도로 뇌 기능이 회복되는 비율도 5.1%로 8.5배 높아졌다.

지난 11년간 급성심장정지 환자 생존율의 지역 격차는 더 커졌다. 2006년 4.2%포인트였던 지역 간 차이는 지난해 8.6%포인트까지 벌어졌다.

지난해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21.0%로 2008년 1.9%에 비해 약 11배 증가했다.

질병관리본부·소방청은 이 같은 조사 결과를 공유하고 지역 간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오는 22일 '제7차 급성심장정지조사 심포지엄'을 연다.

하정열 심폐소생술 국민운동본부 이사장은 "환자 발견시에는 신속히 119에 신고하도록 하고, 심장정지가 가정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므로 우리 모두가 심폐소생술에 관심을 갖고 익히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