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사처
ⓒ 인사처

성희롱, 갑질 상사와의 갈등, 과중한 업무고충 등 공직사회에서 공무원이 겪을 수 있는 인사고충 상담·처리에 대한 표준지침이 마련됐다.

인사혁신처 소청심사위원회는 16일 공무원 인사고충상담 표준지침을 공개했다.

표준지침은 고충상담 내용 비밀유지와 신청자와 상담원에 대한 불이익 금지, 필요에 따라 익명으로 상담할 수 있게 하는 등 신상보호를 기본 원칙으로 한다.

또, 기관별로 고충상담 전담부서와 고충상담원을 지정하고 상담원에게 처리권한과 처리대장 관리 임무를 부여하도록 한다.

상담원은 상담을 신청받은 날로부터 5일 안으로 진행하고 20일 이내에 권한 범위에서 조치를 해야 한다.

상담원이 작성한 처리 대장은 정기적으로 기관장에게 보고해야 한다고 지침에 명시돼 있다.

제도가 도입된 지 37년이 지났지만 중앙고충심사위의 경우 청구 건수가 1년에 10건 미만일 정도로 유명무실했다.

이는 제도에 대한 공무원의 인지도가 낮고, 위원회를 상위직급 공무원으로만 구성하며 진술권도 고충심사위가 필요한 경우에만 부여했기 때문이다.

이에 정부는 지난 5월 고충심사위원회에 외부위원을 3분의 1 이상 포함하고 진술권을 반드시 부여하는 등 관련 규정을 개정해 표준지침을 마련했다.

인사처가 지난해 9월 중앙부처 공무원 1만8807명을 대상으로 고충처리제도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78.7%(1만4802명)는 고충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공무원들이 겪는 고충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근무환경 관련 고충이 43.7%로 가장 많았고, 인사 기준 관련 26.6%, 보수 관련 23.7%, 비인권 행위 22.0%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가운데 고충처리제도를 활용한 경험이 있는 사람은 10.1%(1893명)에 불과했고, 심사 청구에 장애가 되는 요인으로는 조직에 반항으로 보일까 걱정(35.2%·667명)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 인사처
ⓒ 인사처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