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당국이 '결핵 후진국'이라는 불명예를 씻기 위해 결핵 퇴치에 온 힘을 쏟기로 했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는 2022년까지 결핵발생률을 절반 수준으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제2기 결핵관리종합계획(2018~2022년)을 추진한다고 1일 밝혔다.

이 계획에 따르면 '결핵 없는 사회, 건강한 국가'란 슬로건 아래 △조기 발견을 통한 전파 차단 △환자 중심의 관리와 지지 △연구개발과 진단 △국내외 협력체계 구축 등을 통해 인구 10만명당 결핵발생률을 2016년 77명에서 2022년 절반 수준인 40명으로 낮추기로 했다. 2035년에는 결핵퇴치 수준(인구 10만명당 10명 이하)까지 떨어뜨릴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결핵이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서 노인 의료급여수급권자 등을 대상으로 결핵검진을 하기로 했다.

또 국내 외국인 거주 밀집 지역에서 결핵과 잠복결핵감염 검진 시범사업을 시행, 결핵환자 조기발견으로 국내 전파를 차단하기로 했다.

결핵 감염에 취약한 영유아, 청소년, 노인 등과 접촉빈도가 높은 직업군(방과 후 교사, 간병인 등)에 대해서도 결핵검진 등 관리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노숙인, 쪽방 거주자 등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에 대한 이동 결핵검진을 시행한 뒤 점차 확대하기로 했다.

잠복결핵감염을 치료하는 의료기관을 370곳에서 460곳으로 확대하고 부작용 발생에 대한 모니터링과 역학조사를 시행할 예정이다.

결핵환자의 가족에 대한 결핵검진을 강화하고 집단시설 결핵 역학조사 실시 기준을 현행 전염성 결핵에서 비전염성 결핵으로 단계적으로 확대해나가기로 했다.

결핵 치료제 개발과 기초연구를 지속해서 지원할 방침이다.

결핵예방백신(BCG) 수급 불안정 해소와 '백신 주권' 확립 차원에서 2020년 개발·허가를 목표로 추진 중인 피내용 BCG백신 국산화를 차질없이 추진할 계획이다.

보건당국은 5년 주기로 결핵관리대책을 마련하도록 한 결핵예방법에 따라 2013년 '제1기 결핵관리종합계획을 수립해 시행했다.

그 결과 2000년 이후 좀처럼 줄지 않던 결핵 신규 환자 발생률이 2011년 이후 연평균 5.8% 감소했다.

결핵 신규 환자는 2012년 3만9545명, 2014년 3만4869명, 2016년 3만892명 등에 이어 지난해는 2만8161명으로 처음으로 2만명대로 진입했다.

이런 결핵 발생 감소 추세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서 결핵발생률과 사망률이 가장 높다. 결핵후진국이란 오명이 꼬리표처럼 따라다니는 이유다.

2016년 기준 인구 10만명당 결핵 발생률은 한국이 77명으로, 2위 라트비아(37명), 3위 멕시코(22명)보다 훨씬 많을 뿐 아니라 OECD 평균(11.7명)을 훌쩍 뛰어넘는다.

인구 10만명당 결핵사망률 역시 한국이 5.2명으로 OECD 평균(1명)의 5배를 넘을 뿐 아니라 2위 라트비아(2.8명)와 3위 포르투갈(2.5명)을 월등히 앞지른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