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준 SK E&S 사장 포럼서 발표 ··· "연료비 정산 현실화해야"

전기와 열을 동시에 생산하는 열병합발전이 친환경 분산형(分散型) 전원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정작 관련 업계는 고사 위기에 처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와 관련해 석탄, 원자력 등 발전용 연료를 둘러싼 소모적 논쟁에서 벗어나 생산-이송-소비 등 전력산업 전체를 아우르는 포괄적 정책이 수립돼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집단에너지협회장인 유정준 SK E&S 사장은 15일 서울 쉐라톤팔래스 호텔에서 열린 '제8차 에너지미래포럼' 주제 발표에서 이같이 말했다.

집단에너지사업자들은 열병합발전소 등에서 생산된 열과 전기를 주거ㆍ상업ㆍ산업단지 등에 공급한다. 액화천연가스(LNG)를 원료로 쓰고 에너지 효율이 높아 친환경 분산형 전원으로 꼽힌다.

현재 한국지역난방공사가 국내 시장의 55%가량을 장악하고 있고 나머지 업체가 남은 시장을 나눠 갖고 있다. 집단에너지 업체 대부분은 열병합발전소 사업자다.

유 회장은 "열병합발전을 정책자원으로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에너지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는 핵심 전략"이라며 "열병합발전은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부상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기후나 환경에 따라 전력생산이 일정치 않은 약점)을 보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열병합발전소가 분산형 전원으로 국민에게 제공하는 편익을 금액으로 환산하면 연간 약 1조1500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장거리 송전선을 건설할 필요가 없고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통한 환경 편익도 크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내 민간 사업자들은 심각한 경영난에 시달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난방공사에 비해 원가경쟁력이 떨어짐에도 요금은 지역난방공사 기준에 맞춰 책정되고 있기 때문이다.

유 회장은 "국내 36개 집단에너지 열병합발전 사업자 가운데 지역난방공사, 한전과 전력공급 계약을 맺은 GS파워를 빼면 나머지 사업자들은 만성적자에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역난방공사와 GS파워 두 곳을 제외한 업계 전체의 손익을 살펴보면 2011년 2302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한 후 매년 1000억원이 넘는 손실이 나고 있다.

유 회장은 "고사 위기에 처한 사업자들의 생존을 위해 연료비 정산을 현실화해 달라"며 "발전소에 지급하는 고정비 정산금(CPㆍ용량요금)도 확대해줄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분산형 전원 활성화를 위해 전력산업기반기금을 통한 지원도 요구했다. 전력산업기반기금은 2001년부터 9년간 5205억원을 열병합발전에 지원했으나 2010년 이후 지원이 끊어졌다.

유 회장은 한발 더 나아가 생산은 물론 이송, 소비 단계까지 아우르는 거시적 관점에서 에너지정책이 수립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래 전력산업의 경우 생산은 탈탄소화를 통한 친환경화, 유통은 분산형으로 변할 것"이라며 "소비는 디지털화를 통해 효율화를 높이는 방향으로 변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글로벌 에너지 트렌드가 변화하고 있는데 국내에서는 여전히 해안가에 밀집한 원전이나 석탄발전소 등 대규모 발전소가 생산한 전력을 수도권까지 장거리 고압 송전하는 구조에만 매몰됐다"며 "전력시스템의 탈중앙집권화를 통해 사회적 비용을 낮추고 공급 안전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집단에너지협회장인 유정준 SK E&S 사장 ⓒ SK E&S 제공

키워드

#N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