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설계값 충분히 도달" ··· 김정은 주재 당 정치국 회의 결정

북한은 3일 "대륙간탄도로켓(ICBM) 장착용 수소탄 시험에서 완전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북한 핵무기연구소는 이날 발표한 성명에서 "조선노동당의 전략적 핵무력 건설 구상에 따라 우리의 핵 과학자들은 3일 12시 우리나라 북부 핵시험장에서 대륙간탄도로켓 장착용 수소탄 시험을 성공적으로 단행하였다"라며 이같이 밝혔다고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성명은 "이번 수소탄 시험은 대륙간탄도로켓 전투부(탄두부)에 장착할 수소탄 제작에 새로 연구ㆍ도입한 위력 조정 기술과 내부구조 설계방안의 정확성과 믿음성을 검토ㆍ확증하기 위하여 진행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시험 측정 결과 총폭발 위력과 분열 대 융합 위력비를 비롯한 핵 전투부의 위력 지표들과 2단열 핵무기로서의 질적수준을 반영하는 모든 물리적 지표들이 설계값에 충분히 도달하였으며 이번 시험이 이전에 비해 전례 없이 큰 위력으로 진행되였지만 지표면 분출이나 방사성 물질 누출현상이 전혀 없었고 주위 생태환경에 그 어떤 부정적 영향도 주지 않았다는 것이 확증됐다"고 주장했다.

앞서 조선중앙TV는 오후 3시 30분(평양시간 오후 3시) 발표한 중대보도에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 주재로 당 정치국 상무위원회가 이날 오전 열렸으며, 이 회의에서 핵실험 단행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북한의 핵실험 발표는 핵실험 감행 후 3시간 만에 나왔다. 앞서 기상청 국가지진화산종합상황실은 이날 오후 12시 29분쯤 북한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진앙 북위 41.30도, 동경 129.08도)에서 규모 5.7의 인공지진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북한의 이번 핵실험은 6번째로, 지난해 9월 9일 감행한 5차 핵실험 이후 약 1년 만이며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첫 핵실험이다.

■ 북한의 핵 개발 관련 주요 일지

▲ 1985. 12. 12 = 북한 핵확산금지조약(NPT) 가입
▲ 1991. 12. 31 = 남북, 한반도 비핵화 공동선언 합의
▲ 1993. 3. 12 = 북한 NPT 탈퇴 선언
▲ 1994. 11. 1 = 북한 핵 활동 동결 선언
▲ 2002. 12. 12 = 북한 핵 동결 해제 발표
▲ 2005. 2. 10 = 북한 핵무기 보유 선언
▲ 2005. 5. 11 = 북한 영변 5㎿ 원자로에서 폐연료봉 8천개 인출 발표
▲ 2005. 9. 19 = 6자회담서 '北 모든 핵무기와 현존 핵 계획 포기' 등 6개 항의 9ㆍ19 공동성명 채택
▲ 2006. 10. 9 =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에서 제1차 핵실험 실시
▲ 2007. 2. 13 = 6자회담서 영변 원자로 폐쇄 및 불능화 합의
▲ 2007. 7. 15 = 영변 원자로 폐쇄
▲ 2007. 10. 3 = 6자회담서 모든 핵시설 불능화 및 핵 프로그램 신고 합의
▲ 2008. 6. 27 = 영변 원자로 냉각탑 폭파
▲ 2008. 9. 24 = 영변 원자로 봉인 해제
▲ 2009. 5. 25 = 북한 제2차 핵실험 실시
▲ 2009. 11. 3 = 북한 사용 후 폐연료봉 8천개 재처리 완료 선언
▲ 2013. 2. 12 = 북한 제3차 핵실험 실시
▲ 2013. 4. 2 = 영변 원자로 재가동 발표
▲ 2016. 1. 6 = 북한 제4차 핵실험, 조선중앙통신 "첫 수소탄 시험 성공적 진행" 발표 
▲ 2016. 9. 9 = 북한 제5차 핵실험, 핵무기연구소 "새로 연구·제작한 핵탄두 위력 판정을 위한 핵폭발 시험 단행" 발표 
▲ 2017. 9. 3 = 북한 "김정은, 새로 제작한 대륙간탄도로켓(ICBM) 탄두부에 장착할 수소탄 참관" 보도 
▲ 2017. 9. 3 = 북한 제6차 핵실험, 핵무기연구소 "ICBM 장착용 수소탄 시험 완전 성공" 발표
  

키워드

#N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