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국립공원관리공단 지표조사 추진

▲ 오대산 화전민터 흔적 '화전금지' 표석. 환경부 제공

환경부 국립공원관리공단은 광복 72주년을 맞아 일제강점기 오대산 일원에서 일본이 자행됐던 자연자원 수탈 흔적에 대한 지표조사를 추진하고 있다고 15일 밝혔다.

오대산은 일제강점기 때 목재 수탈과 노동력 착취 등의 이유로 화전민 마을이 생겨났다. 1975년 오대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될 때까지도 일부가 남아 있었다.

현재도 월정사와 상원사 구간에 화전민 가옥터 50여기가 남아있다. 오대산국립공원의 일부 지명에서도 일제의 노동력 수탈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 오대산 국립공원에 목재 수찰을 했던 '목차레일' 흔적. 환경부 제공

강원 평창군 오대천 상류 '보메기' 지명은 보를 막아 나무를 쌓아 놓은 후 비를 이용해 한꺼번에 무너뜨렸다는 데에서 비롯됐다.

이곳에서 남쪽으로 800m 떨어진 '회사거리'는 오대산에서 이송한 목재를 가공했던 조선총독부 산하 목재회사가 있던 자리에서 유래했다.

목재를 반출하기 위해 수레를 이동시키는 용도로 사용된 목차레일은 오대산 선재길 일대에 10m 정도가 남아있다. 화전민 마을에서 동원된 사람들의 고달픈 노동가요 '목도소리'도 구전으로 전해지고 있다.

▲ 나무보를 막았던 오대산 국립공원 '보메기'. 환경부 제공

오대산국립공원사무소는 올해 처음으로 일제강점기의 아픈 역사의 흔적을 자료로 남기기 위해 자연자원 수탈과 관련된 화전민터에 대한 지표조사를 이달부터 추진하고 있다.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현황도를 작성, 화전민터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방안을 세운 뒤 발굴ㆍ복원사업 등의 방향을 결정할 계획이다.

정정권 오대산국립공원사무소장은 "오대산 화전민터 조사를 통해 일제의 수탈흔적을 발굴ㆍ보존하겠다"며 "시대의 아픔과 치욕을 잊기보다 뚜렷하게 기억하는 것이 후세를 위해 해야 할 일"이라고 말했다.

▲ 조선총독부 산하 목재회사가 있던 '회사거리'. 환경부 제공

키워드

#N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