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민간사업자가 시설투자부터 관리 운영까지 책임지는 민영 공유자전거 정책을 전국에서 처음으로 선 보인다.

13일 수원시에 따르면 다음달부터 첨단 사물인터넷 기술을 접목한 스테이션 없는 무인대여 공유자전거 시스템을 '민간사업자 운영방식'으로 도입할 예정이다.

이 방식은 자전거에 GPSᆞ스마트폰 앱으로 작동되는 자동 잠금장치 등이 내장돼 있어 자전거  거치대ᆞ무인안내ᆞ결제시스템 등으로 구성된 도킹 스테이션이 없어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하다.

이용자는 눈에 띄는 자전거를 바로 이용하거나 스마트폰 앱으로 주변의 자전거를 검색해 찾은 다음, 자전거에 부착된 바코드를 스캔해 무선통신으로 잠금을 해제하면 이용할 수 있다.

이용 후 시내 곳곳에 있는 노면 표시 주차공간에 자전거를 반납하면 된다.

중국에서는 모바이크(Mobike)라는 민간 회사가 이 같은 방식으로 상하이 등 주요 도시에 495만대의 공유자전거를 설치해 운영하는 등 민영 공유자전거 시스템이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지방자치단체가 예산을 투입, 설치부터 운영까지 맡고 있어 재정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경기도의 경우 현재 안산ᆞ고양ᆞ시흥ᆞ이천ᆞ과천ᆞ부천시 등에서 공공자전거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6개시 연평균 운영비가 50억원에 달하고 있다.

도는 이 같은 현황을 분석해 지난해 4월 '자전거 이용 활성화 정책 토론회'를 개최하고 양근서 제3연정위원장의 제안으로 현행 공공자전거정책을 민영 공유자전거시스템으로 정책 전환하는 내용의 경기도 자전거이용활성화 5개년 계획을 수립 중에 있다.

적정기술을 이용한 미세먼지 저감방안 연구용역에 공유자전거시스템 활용방안을 반영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수원시는 당초 시 재정사업으로 설비투자와 관리운영까지의 공공자전거추진계획을 전면 재검토해 공유자전거시스템으로 전환하게 됐다.

수원시는 이 같은 정책 전환으로 공공자전거 3000대 기준 초기시설 구축비 57억원과 연간 운영비 17억원 등 모두 74억원의 예산을 절감하는 것은 물론 민간사업자로부터 공급에 따른 자전거 주차료 까지 받을 수 있게 된다.

공공자전거에서 민영 공유자전거로의 정책 전환을 제안한 양근서 위원장은 "공공자전거의 재정적으로 지속가능한 모델이 바로 민영 공유자전거방식"이라며 "수원시가 처음으로 채택한 공유자전거 모델이 예산 절감은 물론 자전거 문화 확산과 이용 활성화에도 큰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