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 지진재해 대응 정책방향 연구보고서

경기연구원은 규모 2.0~3.0의 지진이 기속적으로 발생해 내진보강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경기 지역에서 규모 2.0~3.0의 지진이 꾸준히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규모 5.0 이상의 강진에 대비해 건축물의 내진 성능 진단과 보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은 4일 지역 내진설계 현황을 조사하고 내진성능 확보를 위한 방안을 제시한 '경기도 지진재해 대응 정책 방향 연구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기상청 통계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1978~2015년 동안 1212회의 지진이 관측돼 연평균 32회의 빈도로 지진이 발생하고 있다. 이 가운데 감지할 수 있는 정도의 지진이 271회 발생했으며 규모 3.0 이상도 345회 발생했다. 지난해 9월 12일 경북 경주에서 한반도 역대 규모인 진도 5.8의 지진이 발생했다.

보고는 경기지역도 지진에 대한 안전의식을 높혀 지진피해 예방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밝혔다.

경기지역의 내진설계 현황을 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공공건축물 내진설계는 2016년 기준으로 40.1%의 건축물만 내진설계가 적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에는 내진 설계 기준이 정비된 1988년 이전 건축된 노후 주거 시설의 비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내진 설계기준도 6층 이상의 건축물에만 적용해 소규모 건축물의 경우는 내진 설계가 미흡한 실정이다.

보고서는 경기 지역의 경우 개발시기가 오래돼 현행 내진 설계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구조물들이 많아 강진 발생시 대규모 인명 참사와 재산 피해를 발생 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원 관계자는 "경기 지역은 규모가 상당해 공공건축물에 대한 내진 보강 비용과 시간이 상당히 소요될 것"이라며 "지진상황시 중요한 역할을 해야하는 소방서, 경찰서 등과 같은 공공건축물에 대해서는 내진성능 진단과 보강을 우선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조례 제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