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희 의원 "허가제한 해제 결정 전면 재검토해야"

각종 부작용으로 많은 선진국에서는 팔지 못하게 막은 마약류 식욕억제제가 국내 다이어트 시장에서는 해마다 판매량이 늘어 국민건강을 해칠지 모른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20일 국회 보건복지위 김상희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향정신성의약품 성분 식욕억제제 '펜터민'과 '펜디메트라진'의 2012~2015년 판매량은 총 7억872만여개에 달했다.

연도별로 2012년 1억5천378만여개, 2013년 1억7천10만여개, 2014년 1억8천232만여개, 2015년 2억249만여개로 매년 증가 추세를 보였다.

마약류 식욕억제제의 일반적 복용법이 '1일 1회, 4주 이내'인 점을 고려할 때, 작년 판매량 2억여개는 산술계산으로 따져도 총 700만여명의 국민이 마약류 식욕억제제에 노출됐다고 추정할 수 있는 수치다.

2012~2015년 요양기관 종별 마약류 식욕억제제 구입량은 ▲ 약국 7억662만5천230개 ▲ 의원 182만7천260개 ▲ 병원 12만6천20개 등의 순이었다.

특히 상위 10개 약국에서 전체 구입량의 10%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테면 해마다 많은 양의 펜터민 및 펜디메트라진을 사들여 파는 서울 종로구의 E약국은 2012년 418만1천800개에서 2015년 447만400개로 3년 새 구입량이 약 30만 개 증가했다.

두 번째로 많은 구입량을 보이는 대구 달서구 O약국 역시 2012년 158만350개에서 2015년 394만7천170개로 약 200만 개나 늘었다.

이에 앞서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13년 9월 프로포폴 등 의료용 향정신성의약품의 오남용을 막고 국민안전을 확보하고자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펜터민·펜디메트라진, 프로포폴 함유 의약품을 신규 허가제한 대상으로 지정해 더는 체중감량 시장에 진입하지 못하게 막았다.

하지만 식약처는 이런 규제를 풀어달라는 제약업계의 요구를 수용해 2014년부터 신규 허가를 내주지 않던 펜터민과 펜디메트라진에 대한 진입규제를 2017년 말부터 해제하기로 했다.

의약품 선진국은 이들 성분 향정신성 식욕억제제가 부작용 위험이 크거나, 다른 대체 치료제가 있어 안전성 논란을 무릅쓰고 사용할 실익이 적다는 점을 들어 팔지 못하게 하거나 제한하고 있다.

그렇지만 국내에서는 살 빼기 열풍으로 이들 향정신성 식욕억제제 성분 약들이 비만 클리닉을 중심으로 다이어트 약으로 다량 처방되며 널리 쓰이고 있다. 이 때문에 오남용으로 복용 후 심지어 숨지기까지 하는 등 심각한 이상 반응 보고도 잇따랐다.

펜터민과 펜디메트라진은 뇌의 시상하부에 있는 식욕 중추에서 노르에피네프린 등 신경전달물질 분비를 증가시켜 식욕을 떨어뜨린다. 이들 약물은 다이어트의 효과를 높일 수 있지만, 의존성과 중독성, 내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커 마약류로 지정돼 있다.

장기 복용하면 폐동맥 고혈압, 심장판막 질환 등 심각한 심장질환이나 불안감, 우울증, 불면증 등 중추신경계 이상 반응을 일으키고 치명적인 중독 때는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식약처는 이들 향정신성 식욕억제제를 3개월 이상 장기 복용하면 피로와 우울증, 불면증, 조현병 등 각종 정신과 부작용과 약물중독 위험이 커질 수 있다며 반드시 복용지침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한다.

식욕억제제 복용지침에 따르면 체질량지수가 30 이상이거나 27~30이면서 고혈압이나 당뇨병 등 다른 위험인자가 있는 때만 의사의 처방에 따라 복용해야 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체중(㎏)을 키(m)의 제곱으로 나눈 수인 체질량지수가 30 이상이면 '비만'으로 25 이상 30 미만을 '과체중'으로 분류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체질량지수 25 이상을 비만으로 본다.

그러나 과체중이나 비만이 아닌데도 과도한 다이어트를 하느라 장기간 식욕억제제를 처방받아 복용하는 사례가 적지 않은 게 현실이다.

김상희 의원은 "펜터민과 펜디메트라진은 오남용 위험이 크고 의존성과 중독성 등 각종 부작용 위험으로 마약류로 지정되는 등 주의해야 하는 전문의약품인 만큼, 식약처는 국민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자세로 펜터민 및 펜디메트라진 허가제한 해제 결정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