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상 세이프타임즈 편집위원장이 본 '김포 주상복합 화재'

지난 10일 경기 김포의 주상복합 공사현장에서 화재가 발생해 4명이 숨졌다. 조남근 기자

지난 10일 경기 김포의 한 주상복합 공사 현장 화재로 4명이 숨졌다. 사고는 지하 2층 공사 근로자들이 피난할 시간도 없이 유독가스에 질식해 숨진 것으로 추정된다.

우레탄폼에 불티가 붙어 발화된 것으로 정리되고 있지만 의문점이 없지 않다. 통상 연기 확산속도는 수평일 경우 0.5~1m/s, 수직 2~3m/s, 계단 3~5m/s 다.

연소시 연기는 상승기류에 의해 천장을 채우고 하강한다. 바닥에서 작업하던 근로자들이 화재를 인지했다면 충분한 피난시간이 확보됐을 수 있었다는 점이다. 최초 발화점이 지하 1층이라는 점에서 현장에 어떤 자재들이 있었는지가 원인을 규명하는 주요 판단 근거가 돼야 한다.

지하 2층 작업자가 피난을 하지 못하고 질식사 했다는 것은 다른 한편으로는 지하 1층에서 최초 발화후 주변 가연물 가운데 특정물질이 연소되면서 연기 확산속도가 빨랐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럴 경우에 지하 1층을 꽉 채운 연기가 내부 피난 계단을 통해 하층부로 유입된다. 방화문이 없는 공사 현장 특성으로 근로자들이 피난을 할 수가 없게 된다.

지난 11일 김포화재 사고현장에서 현장감식이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안전을 강조한 플래카드가 걸려 있다. 이명상 기자

김포화재와 비슷한 사례는 많다. 지난 3월 서울 강서 마곡지구 오피스텔 신축현장 지하 1층에서도 화재로 17명의 사상자를 냈다. 제2롯데월드, 고양터미널, 구로디지털단지 공사현장 등 최근 공사 현장 화재로 인명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김포 사고 처럼 소규모 공사 현장은 대부분 개인 발주, 지역 건설업체가 신축ㆍ증축ㆍ개축하는 경우가 많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건설업체가 '공사장 안전관리'를 자발적으로 하기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특히 소규모 신축 공사장은 골조공사가 끝나고 준공일이 다가올수록 기자재를 비롯해 페인트ㆍ신나ㆍ가스통 등이 현장 주변에 널려 있기 마련이다. 작은 불씨에도 대형화재로 연결될 수 있는 요소가 많은 셈이다. 각별한 안전관리가 요구되지만 형식적인 점검에 치우치는 경우가 많다.

안전관리자를 배치한다고는 하지만 서류상으로만 있는 경우가 허다하다. 건설업체가 안전관리비를 산출, 공사금액에 반영하고 전반적인 안전관리를 하고 있지만 일부 영세업체들은 계정으로만 잡고 실질적 안전관리비를 집행하지 않는 것이 업계의 관행이다.

이명상  세이프타임즈 편집위원장

이기권 고용노동부장관은 김포 화재 사고를 계기로 우레탄폼 사용 건설현장 1500여곳의 현장 특별안전점검을 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매번 대형사고가 발생하면 매뉴얼ㆍ관련규정을 손질하는 땜질대책을 발표한다.

우선 순위가 무엇인지 간과하고 있는 것이 아닌지 묻고 싶다. 근본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를 현장을 통해 찾고, 현장에 맞는 매뉴얼과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공사장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 안전에 대한 인식 전환과 '안전은 곧 생명', '안전관리 수칙 준수'가 사고를 예방하는 지름길임을 인지해야 한다.

안전한 대한민국은 사후약방문이 아니다. 민관이 행동하고 실천하는 선제적 안전문화가 필요하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