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해상의 보험금 깎기 꼼수가 심각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 세이프타임즈

소비자주권시민회의에 제보된 사례에 따르면 현대해상의 '보험금 깎기'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해상은 보험약관에 대한 소비자 이해도가 낮다는 점을 악용해 고객과의 약속을 저버리지 말고 약속한 보험금 지급에 나설 것을 촉구한다.

전업주부 A씨는 2007년 '현대해상 무배당행복을다모은보험'에 가입해 14년이 넘도록 매월 9만7990원의 보험료를 납부했다. A씨의 직업은 전업주부였지만 닭농장에 일손이 모자라니 도와달라는 지인의 부탁을 받게 됐다.

A씨는 처음 하는 일이고 어려울 것 같아 거절했지만 지인이 거듭 부탁해 일손을 돕기로 했다. A씨는 닭농장에서 하루 작업을 한 뒤 귀가하는 12인승 스타렉스 차량에 탑승했다.

곧 차량은 램프를 통해 자동차전용도로에 진입했지만 역진입한 것을 뒤늦게 인지한 운전자는 회차하기 위해 유턴을 하다가 정상주행하는 차량과 충돌하게 됐다. 이 사고로 A씨는 지난해 10월 27일 탑승자 7명 가운데 유일한 사망자가 됐다.

A씨의 남편인 B씨는 지난 1월 현대해상에 사망보험금을 청구했고 현대해상에서 위탁한 KM손해사정에서 현장심사를 진행했다. 두 달이 지나 B씨는 지난 3월 현대해상측의 현장심사 결과 안내를 받게 됐다.

결과는 예상 밖이었다. 보험금의 40%만 지급하겠다는 통지가 도착한 것이다.

현대해상은 A씨가 약관상의 '계약 후 알릴 의무'를 위반했다고 주장했다. 통상 전업주부는 직업상 상해를 입을 가능성이 낮아 보험 가입 시 상해급수 1급을 적용받는다.

현대해상측 주장은 A씨가 전업주부가 아니라 일용근로직으로 직업이나 직무를 변경했으며 이 사실을 보험사에 알리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에 현대해상은 상해급수 3급에 해당하는 비례 보상을 제공하겠다고 통지했다.

비례 보상은 원래 지급해야 할 보험금의 40% 수준에 불과했다. 당연히 A씨의 유족들은 반발할 수밖에 없었으며 현대해상에 반박내용을 보내고 서면답변을 요청했다.

그러나 현대해상은 서면으로 답변을 하지 않고 보상과를 통해 유족측에 연락했다. 비용이 발생하니 소송전으로 가지 말고 보험금의 70% 수준으로 합의하자는 것이다.

이는 보험금을 깎기 위한 명백한 꼼수다. 상식적으로도 A씨가 전업주부에서 일용근로직으로 직업을 바꾸었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금융감독원 역시 2017년 '직업'이라는 용어의 해석으로 보험금 분쟁이 일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 직업을 '생계유지 등을 위해 일정한 기간 동안 계속 종사하는 일'로 정의했다.

이후 현대해상에서도 보험약관에 '직업'의 정의를 동일하게 기재하고 있다.

A씨가 일용직으로 근로한 일수는 불규칙적이었고 일정한 기간 동안 계속되지도 않았다. 회사원인 남편 B씨가 주로 생계유지를 책임졌다.

A씨는 지난해 2월 이후 사고일인 지난해 10월 27일까지 일을 하지 않았다. 따라서 A씨의 직업은 일용근로자가 아닌 전업주부임이 명백했다.

백번 양보해서 A씨의 직업이 일용근로직으로 변경됐다 하더라도 A씨가 겪은 사고는 직무와 관련된 것이 아닌 출퇴근 중 발생한 교통사고다.

A씨가 가입한 보험약관에는 '직무와 관계없는 사고로 발생한 손해'에 대해서는 보험금을 삭감 지급하지 않는다고 명시돼 있다. 보험계약을 위반한 것은 A씨가 아닌 현대해상이다.

수백 페이지에 이르는 보험약관을 소비자가 어려워한다는 점을 이용해서 소중한 고객을 배신하는 보험사들의 태도가 이제는 바뀔 때도 됐다. 

현대해상은 손해보험업계 상위 보험사로 많은 고객을 두고 있으면서도 여전히 고객을 속이고 있다. 마땅히 줘야 할 보험금을 70%로 깎는 꼼수를 부리고 고객과의 약속을 저버리는 보험사는 도태될 것이다.

현대해상이 즉시 보험금 전액을 지급할 것을 촉구한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