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주권시민회의 "말로만 ESG경영 아닌 환경설비 투자해야"

최근 염소더스트 불법매립으로 논란이 됐던 시멘트 업체의 ESG 경영이 오히려 환경보호에 역행한다는 논란으로 도마 위에 올랐다.

24일 소비자주권시민회의에 따르면 지난해 3월 시멘트 업계는 정부의 2050 탄소중립 실현에 맞춰 순환자원 재활용 극대화·온실가스 감축 등을 목표로 하는 ESG 경영을 선언했다.

시멘트 업체들은 각종 시설투자 계획을 발표했지만 실상은 폐기물 투입량 확대를 위한 시설투자 비용이 대부분이었다.

일각에서 탄소 중립을 빙자해 폐기물 시멘트 생산을 더욱 확대한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됐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의 분석에 따르면 7개 시멘트 업계의 ESG 경영 관련 투자금액은 1조4302억원이었다. 이 중 1조650억원이 폐기물 연·원료 시설 확충에 쓰였다.

폐기물 연·원료 시설은 폐기물을 대체연료로 활용할 때 안정적으로 연료를 공급할 수 있게 해주는 설비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폐기물 이용을 위한 설비 투자는 기존 연료인 유연탄을 폐합성수지 등의 가연성 폐기물로 대체하기 위한 것으로 시멘트 업체의 수익성 개선을 위한 도구에 지나지 않는다"고 밝혔다.

반면 냉각시설 여과집진기 교체·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시설 유지보수 등 오염물질 저감설비에 쓰인 예산은 1259억원으로 9%에 불과했다.

시멘트 업계 1위 쌍용C&E가 2800억원, 한일현대시멘트와 한일시멘트가 2700억원, 성신양회가 1300억원을 폐기물 설비 확충에 투자하고 있다. 시멘트 시장 점유율이 높은 업체일수록 투자금액도 많았다.

아세아 시멘트와 한라 시멘트는 오염물질 저감설비 투자 계획이 전무하고 폐기물 이용을 위한 설비 투자에만 집중했다.

시멘트 업계는 질소산화물 배출량 1위 업종임에도 실질적인 환경개선에 필요한 설비에는 소극적이다.

질소산화물 제거 효율이 90% 이상 되는 선택적촉매환원시설(SCR) 설치가 전무하고, 설치·운영 비용이 저렴하고 질소산화물 제거 효율이 30~70%에 불과한 선택적비촉매환원시설(SNCR)만 설치돼 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 관계자는 "자원순환을 명목으로 폐기물을 더 많이 태우는 것이 ESG 경영인지 시멘트 업계는 자문해 볼 필요가 있다"며 "시멘트 업계는 말로만 ESG 경영을 떠들 것이 아니라 진정한 환경설비를 위한 투자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