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허병권 전국철도노동조합 노동안전실장이 경기 오봉역 입환업무 노동자 사망 사고 관련해 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 전국철도노동조합

지난 5일 발생한 경기도 의왕 오봉역 철도노동자 사망 사고는 '인력 부족'과 '안전하지 못한 작업 환경 탓'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8일 전국철도노동조합(철도노조) 용산 회의실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성낙권 오봉역연합지부 부지부장은 "오봉역 철도 노동자 사망 사건은 3인이 입환했다면 충분히 막을 수 있는 참사였다"고 밝혔다.

노조에 따르면 지난 5일 오봉역 시멘트기지 내에서 발생한 노동자 사망 사고는 시멘트 운송 열차를 연결하고 분리하는 입환 작업 중 열차가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아 발생했다.

오봉역은 전체 화물수송의 36%를 담당하는 가장 큰 화물기지로 입환량이 많아 위험하고, 노동강도도 높지만 시설개선은커녕 기존 3인조 근무마저 2명으로 줄었다.

4조2교대로 한 개 조가 늘었지만 정부가 인력증원 요청을 받아들이지 않았고, 그 결과 조당 근무 인원이 16명에서 13명으로 줄었다.

김선욱 정책실장은 "오봉역과 비슷한 상황에 처한 곳이 전국에 수백 곳은 될 것"이라며 "언제 어느 곳에서 유사한 참사가 일어날지 모를 시한폭탄이 전국 곳곳에 도사리고 있는 셈"이라고 말했다.

노동자 A씨는 선로전환기를 통해 열차가 '한일선'으로 진입하도록 선로를 변경한 후 다음 작업을 위해 이동하고 있었는데, 기관차가 '한일선'이 아닌 A씨가 이동 중이던 '성신선'으로 진입해 A씨를 친 것이다.

당시 작업은 기관차가 화차를 앞에서 끄는 '견인운전'이 아닌 화차의 뒤에서 미는 '추진운전' 방식이어서 기관사가 A씨를 보지 못했다.

노조 관계자는 "선로전환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그런 것인지 A씨가 착각을 한 것인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노조는 기차가 왜 다른 선로로 진입했는지 알 수 없지만, 인력부족과 근무환경이 개선됐다면 막을 수 있었던 사고라고 주장했다.

22만4790㎡의 오봉역 시멘트 기지 안에서 수송원들은 15개 선로를 넘나들며 기차 연결 작업을 하는데, 열차 이동 상황을 관제하는 시설이 없기 때문에 수송원과 기관사는 무전에 의지해 작업한다.

15개 선로 사이 간격도 좁아 수송원들이 이동·작업할 공간도 부족하다. 이때문에 오봉역에선 사고가 빈발했다.

2014년 컨테이너 입환 과정에서 수송원이 화차 사이에 끼어 숨지기도 했다. 2017년엔 수송원이 트럭에 치어 크게 다쳤고, 2018년엔 수송원의 발목이 화차와 선로 사이에 끼어 절단됐다.

김선욱 철도노조 정책실장은 "2017년 사고 뒤 회사도 이를 받아들여 3인1조를 진행하기로 했지만, 2020년 교대제가 충분한 인력 증원 없이 3조2교대에서 4조2교대로 전환되면서 2인1조 근무가 계속돼왔다"고 말했다.

이어 "현장에선 인력부족이 안전을 위협하고 있는데 국토부는 오히려 철도공사 정원을 줄이라고 압박하고 있다"며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엄정대처보다 인력충원과 설비개선을 위해 무엇을 할지 답을 내놓아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