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설명 ⓒ 환경부
▲ 100억원을 들여 만든 홍수위험지도 정보시스템 접속자가 6만명도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환경부

나랏돈 100억원을 들여 만든 홍수위험지도 정보시스템 접속자가 6만명도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의원
▲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의원

20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우원식 의원(더불어민주당·서울노원을)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홍수위험지도 정보시스템 관련 자료에 따르면 홍수위험지도가 일반에 공개된 이후 현재까지 총접속자 수는 5만8849명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홍수위험지도는 환경부에서 2001년 기본조사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100억여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해 만들고 있다.

2021년부터는 홍수위험지역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대피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홍수위험지도를 인터넷과 모바일의 홍수정보시스템 사이트를 통해 일반에 공개했지만 올해 기록적인 대홍수 전까지 홍수위험지도를 이용한 사람은 많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접속자 5만8849명 가운데 72.6%에 해당하는 4만2725명이 지난 8월 10일 폭우 이후 접속했고, 그 전까지의 접속자 수는 전체의 27.4%인 1만6983명에 불과했다.

행정안전부가 재난, 치안, 교통, 보건 등 사고 이력, 안전시설 등을 지도형태로 제공하는 생활안전지도의 경우 홍수위험지도와 비교해 같은 기간 70만9574명이 접속해 10배 이상 많은 접속자 수를 보였다.

환경부에 따르면 홍수위험지도는 지난달 3일이 돼서야 생활안전지도 시스템상에서도 볼 수 있도록 연계 서비스를 시작했다.

우원식 의원은 "올해 8월 기록적인 강우와 힌남노 등 홍수피해는 미리 대처하지 못해 생긴 사고가 많아 재난 불평등으로 평가받는다"며 "접속자 수가 많은 생활안전지도와 연계해 홍수위험지도의 노출량을 늘릴 방법이 이미 있었음에도 수해 이후에야 가능하게 된 것은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