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대병원 공동연구팀은 나이에 따라 비만도가 심혈관계에 미치는 위험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왼쪽부터 김형관·이현정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한경도 숭실대 교수. ⓒ 서울대병원
▲ 서울대병원 공동연구팀이 나이에 따라 비만도가 심혈관계에 미치는 위험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왼쪽부터 김형관·이현정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한경도 숭실대 교수. ⓒ 서울대병원

젊을수록 비만의 심혈관계 위험이 큰 반면 노년층에서는 저체중의 심혈관계 위험이 커 약간의 과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노년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은 김형관·이현정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와 한경도 숭실대 교수 공동연구팀이 나이에 따라 비만도가 심혈관계에 미치는 위험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29일 밝혔다.

공동연구팀이 건강보험공단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심혈관 질환이 없는 927만8433명을 대상으로 전국 인구 기반 코호트 연구를 진행했다.

비만도의 척도인 체질량지수(BMI)가 심혈관계 위험에 미치는 영향은 '나이'에 따라 다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적정 정상체중을 기준으로 BMI의 영향을 연령대별로 △청년층(20~39세) △중년층(40~64세) △노년층(65세 이상)으로 나눠 분석했다.

전체 인구에서는 비만도와 심근경색, 심부전과 사망의 위험은 U자형 연관성이 나타났다. 특히 비만하거나 저체중일수록 심혈관계 질환과 사망의 위험이 증가했다.

반면 각 질환별 가장 위험이 낮은 BMI 구간은 심근경색의 경우 '정상 체중', 심부전은 '비만 전단계' 사망은 '경도 비만' 구간이었다.

이러한 비만도와 심혈관계 위험의 연관성은 연령대에 따라 분류했을 때 확연한 차이를 보였고 동맥경화와 관련이 높은 심근경색에서 특히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심근경색의 위험은 청년층에서 비만도가 높을수록 비례적으로 증가했다. 중년층은 U자형, 노년층에서는 반비례해 저체중일 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도와 심부전의 위험 사이에서는 전 연령층에서 U자형 관계가 관찰됐지만 비만의 영향은 청년층에서 더 강한 반면 저체중의 영향은 중·노년층에서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 체질량지수에 따른 비만도와 심근경색, 심부전과 사망의 위험이 U자형의 연관성을 보였다. ⓒ 서울대병원
▲ 체질량지수에 따른 비만도와 심근경색·심부전과 사망의 위험이 U자형의 연관성을 보였다. ⓒ 서울대병원

심부전의 위험이 가장 낮은 BMI 구간은 청년층에서는 '정상체중'일 때, 중년층에서는 '정상체중' 혹은 '비만 전단계'일 때 노년층에서는 '비만 전단계'일 때로 나타났다.

사망의 위험은 전 연령층에서 '경도비만'일 때 가장 낮고 심한 저체중일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저체중과 사망의 연관성은 청년층보다 중·노년층에서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나이를 10살 단위로 나눠 분석했을 때 나이대에 따라 비만도와 심혈관계 위험의 연관성이 달라진다는 결과가 더욱 극명히 드러났다.

20대에서는 저체중이 심혈관계 위험을 증가시키지 않았고 비만도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 증가할수록 심혈관계 위험이 증가했다. 반면 70대 이상의 노인에서는 비만에 따른 심혈관계 위험 증가보다도 저체중에 따른 심근경색과 사망의 증가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즉 젊을수록 저체중보다는 비만의 심혈관계 위험이 큰 반면 노년층에서는 저체중의 심혈관계 위험이 크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김형관·이현정 교수는 "비만한 젊은이는 체중을 감량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노인층의 경우 근감소증으로 저체중이 되면 심혈관계 질환과 사망의 위험이 높아지므로 체중이 감소하지 않도록 적절한 운동과 식이를 하는 것을 권장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유럽심장학회에서 발행하는 국제저널인 '유럽 예방 심장학 저널(European Journal of Preventive Cardiology)' 최신호에 게재됐다.

▲ 청년층, 중년층, 노년층에서 체질량지수에 따른 비만도와 심근경색, 심부전과 사망의 위험이 다른 양상을 보였다. ⓒ 서울대병원
▲ 청년층·중년층·노년층에서 체질량지수에 따른 비만도와 심근경색·심부전과 사망의 위험이 다른 양상을 보였다. ⓒ 서울대병원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