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주권시민회의, 요금 인하효과 어렵고 '100GB'와 양극화
데이터 구간별 중저가 요금제 출시해 '소비자 선택권' 보호해야

▲ 사진설명 ⓒ 김소연 기자
▲ 한 소비자가 SK텔레콤 홈페이지에서 요금제를 조회하고 있다. ⓒ 김소연 기자

SK텔레콤이 출시를 준비하고 있는 '5만9000원-24GB 데이터' 요금제가 소비자 요구를 외면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SK텔레콤은 지난 11일 시민단체 소비자주권시민회의가 '통신 3사가 5G 요금제를 10GB와 100GB로 양극화해 과도한 이윤을 추구하고 있다'는 지적에 따라 이같은 요금제 출시 신고서를 관계 당국에 제출했다.

하지만 데이터 사용량이 10GB가 24GB로 바뀌었을 뿐 양극화된 요금체계에 큰 변화가 없다. 20·40·60GB 등 데이터 구간별 요금제 출시를 요구하는 소비자의 목소리를 외면한 생색내기 중간요금제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26일 자료를 내고 "매달 100만명씩 5G 가입자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이통사만 배불리는 5G요금제 개선이 시급하다"며 "무선통신시장의 지배적 사업자인 SKT의 중간요금제는 KT와 LGU+에도 막대한 영향을 준다"고 비판했다. SKT가 생색내기 요금제가 아닌 데이터 구간별 중저가 요금제 출시와 소비자 선택권 보호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통신 3사는 지난해에만 4조원이 넘는 영업이익을 거뒀다. 5G 이용 소비자에게 데이터 구간별 요금제를 배제한 채 10GB(5만5000원)와 100GB(6만9000원) 요금제의 양자택일을 강요한 결과로 볼 수 있다.

▲ SKT 5G 요금제 구성. ⓒ 세이프타임즈
▲ SKT 5G 요금제 구성. ⓒ 소비자주권시민회

황동현 통신소비자위원장(한성대 융복합교양교육부 교수)은 "정치권과 시민단체가 고가 5G요금제 사용이 불가피한 요금체계를 개선하라고 촉구하자 SKT가 24GB(5만9000원) 요금제라는 꼼수로 맞서고 있다"고 지적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지난해 이동전화 단말기별 트래픽 현황을 보면 국민 1인이 한달 동안 사용하는 5G 평균 데이터양은 26.8GB였다. 이를 고려하면 SKT 24GB(5만9000원) 요금제는 오히려 '24GB와 100GB로의 양극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다.

100GB 사용자들이 24GB로 이동하기보다는 현행 10GB 사용자들이 24GB로 이동할 것이기 때문이다.

SKT는 데이터 사용량에 맞춰 구간별 요금제를 출시하는 대신 현행 10GB 5만5000원 요금제는 유지한 채 24GB 5만9000원 요금제만 출시한 것은 소비자 선택권 제한을 유지, 가입자당 평균 매출(ARPU)을 극대화하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분석했다.

데이터 구간별 중저가 요금제 출시라는 시민단체와 정치권의 압력을 교묘하게 피해 가면서 이익은 극대화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황동현 위원장은 "무선통신시장의 지배적 사업자 SKT의 중간요금제는 KT와 LGU+에도 영향을 준다"며 "소비자들의 이용 편차를 배제한 채 5G 가입자들의 평균 데이터 이용량만을 가지고 만들어 낸 요금제가 실질적인 통신 요금 완화 효과를 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SKT가 현행 '10GB-5만5000원' 요금제를 인하하고 30GB, 40GB, 50GB 등 10GB씩 증가할 때마다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간별 요금제를 확대할 것을 촉구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