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주권시민회의 재수사 촉구

▲ 벤츠 GLE 350d. ⓒ 벤츠 코리아
▲ 벤츠 GLE 350d. ⓒ 벤츠 코리아

검찰은 지난달 26일 벤츠·닛산·포르쉐의 배출가스 불법조작 혐의에 대해 '불기소 처분'했다. 환경부가 고발한 사건을 '혐의없음' 처분한 데 이어 두 번째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가 대기환경보전법 등 위반으로 고발한 지 2년 만이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배출가스 조작사건 차량에 대한 철저한 정밀검사를 실시하고 객관적이고 투명한 재수사에 조속히 나서야 한다고 16일 밝혔다.

소비자주권에 따르면 검찰은 독일 자동차청의 불법 조작 확인, 환경부의 조사결과 불법조작 행위 확인, 공정거래위원회의 배출가스 저감 허위 확인 등이 나왔음에도 결과를 모두 배척했다.

문제가 된 차량이 4만대가 넘었지만 해당 차종에 대한 조사도 실시하지 않았다.

벤츠·닛산·포르쉐는 2012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에 판매한 경유 차량 14종 4만381대의 차량이 환경부의 인증시험 때와는 다르게 질소산화물이 과다배출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실제 운행시 질소산화물 환원촉매(SCR)의 요소수 사용량이 줄어들고, 배출가스 재순환장치(EGR)의 작동이 중단되는 등 불법조작 프로그램이 임의로 설정된 탓이다.

환경부는 배출가스 불법조작으로 최종 판단하고 2020년 5월 7일 인증취소와 함께 벤츠 776억원, 닛산 1억7300만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고 포르쉐에 대해 시정명령을 내렸다.

국립환경과학원 교통환경연구소도 벤츠·닛산·포르쉐가 판매중인 차종을 조사한 결과 배출가스를 통제하는 엔진제어장치에 이중 소프트웨어를 탑재해 인증시험 모드에서는 유해물질인 질소산화물(NOx)을 덜 배출하고 실주행 모드에서는 다량 배출하도록 설계했음이 확인됐다.

공정거래위원회도 지난 2월 8일 벤츠가 자사의 경유 승용차가 질소산화물을 90%까지 줄이고 유로6 배출가스 기준을 충족하는 성능을 가지고 있다고 표시·광고한 것이 허위임을 확인했다.

▲ 불법조작 차량 상세내역. ⓒ 환경부
▲ 불법조작 차량 상세내역. ⓒ 환경부

실제 배출가스 조작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설치해 일상적 환경에서의 질소산화물 저감 성능은 이에 미치지 못했다.

불법 프로그램이 설치된 차량에 '대기환경보전법에 적합하게 설치됐다'고 표시한 행위도 거짓성이 인정됐다. 벤츠는 '거짓·과장·기만 광고', '거짓 표시 혐의'로 시정명령과 과징금 202억400만원을 부과받았다.

불법조작 의혹은 2018년 6월 독일 교통부에서도 제기돼 독일 자동차청이 같은 해 8월에 벤츠 'GLC 220d(2.1L), GLE 350d(3.0L)' 차종 등의 질소산화물 환원촉매장치 중 요소수 제어와 관련한 불법 소프트웨어를 적발했음이 확인됐다.

그러나 검찰은 환경부·공정위·독일 자동차청의 배출가스 저감이 허위라는 결과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해당 차량에 대한 정밀검사도 시행하지 않아 대기환경 오염에 따른 기업들의 책임과 국민 건강과 안전을 등한시하며 과학적이며 적극적인 수사 의지를 보여주지도 않았다.

소비자주권 관계자는 "검찰이 환경부가 고발한 사건을 혐의없음 처분하고, 이를 이유로 소비자주권이 고발한 사건마저 불기소 처분한 것이 부당하고 부실한 수사결과"라고 말했다.

이어 "검찰은 국민들이 신뢰할 수 있도록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질소산화물의 배출을 조작하며 차량을 판매한 벤츠·닛산·포르쉐에 대해 한 점 의혹 없도록 철저한 재수사에 나설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