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는 19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지던트호텔에서 국제사회의 탈플라스틱 협약을 선제적으로 논의하고 대비하기 위한 이해관계자 토론회를 개최한다. ⓒ 환경부
▲ 환경부는 19일 서울 프레지던트호텔에서 국제사회의 탈플라스틱 협약을 선제적으로 논의하고 대비하기 위한 이해관계자 토론회를 개최한했다. ⓒ 환경부

환경부는 19일 서울 프레지던트호텔에서 국제사회의 탈플라스틱 협약을 선제적으로 논의하고 대비하기 위한 이해 관계자 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회는 지난 3월 케냐 나이로비에서 열린 제5차 유엔환경총회에서 2024년까지 플라스틱 오염을 끝내기 위한 법적 구속력이 있는 국제협약 결의안이 한국을 포함한 유엔 회원 175개국 간에 합의를 거쳐 채택됨에 따라 마련됐다.

결의안은 그동안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를 위주로 논의됐던 플라스틱 문제가 해양에 한정되지 않고 전주기적인 관리로 확대됐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고 평가된다.

환경부는 토론회를 통해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을 비롯한 학계 전문가들이 최근 탈플라스틱에 대한 국제사회의 현황을 알아보고 유관기관 전문가들과 토론을 통해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용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국제환경협력센터장은 지난 20년간 전 세계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이 2000년 1억5600만톤에서 2019년 3억5300만톤으로 2배 이상 증가하고, 지난 3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환경장관회의에서도 플라스틱 문제가 주요 의제로 채택된 것 등 최근 국제사회의 동향을 설명했다.

계형산 목원대 교수는 일회용품, 재생원료 체계 구축 등과 관련된 국내외 기술 동향 등을 소개했다.

김법정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장은 "플라스틱은 생산과 폐기 과정에서 막대한 온실가스를 배출하며 국제사회의 기후위기와 환경오염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며 "한국은 기업의 선제적 노력과 국민의 실천으로 탈플라스틱 방면에 많은 진전이 있었던 만큼 국제적 흐름을 읽고 이러한 움직임을 기회로 활용하기 위한 정책을 적극 발굴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